고백할 것이 있다. 사실 기자는 지난 4월까지 투잡을 했다. <원대신문> 소속이기도 했으며, 환경부 산하 '대학생 그린 기자단'(이하 그린 기자단)으로 활동했다. 하지만 대외활동은 나에게 아픈 기억이다. 소수의 인원을 뽑는 그린 기자단에 합격했을 때는 누구보다도 기뻐했지만, 한동안 대외활동을 잊고 살았다. 주간으로 발행되는 <원대신문> 기자 활동에 바빠 여유가 없었다.
   대외활동은 허무하게 끝났지만, 환경에 대한 관심을 놓지 않으려 한다. 최근 많은 논란이 된 경제개발에 따른 환경파괴 사례를 몇 가지 소개하려 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오는 2030년까지 2조 4천억 원을 투입해 제주신항을 건설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지난달 28일 성명을 통해 "제주도가 환경파괴와 어민 생존권, 원도심 주민들의 삶의 질 등은 아랑곳하지 않고 오로지 대규모 국세 지원이 필요한 토목사업을 따오려 한다"며 신항 개발 계획 폐기를 촉구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제주신항 개발이 대규모 환경파괴를 불러온다고 주장한다. 기존의 매립 위주 개발방식과 비교해서 매립 면적과 항만건설 계획이 4배 이상 늘어났다고 비판했다. 제주신항은 제주항 외항의 크루즈 부두와 내항의 국내여객부두를 옮겨와 초대형 크루즈 부두와 국내 여객 부두, 워터프론트 등이 포함된 해양관광허브지구로 조성될 예정인데, 그로 인해 제주도의 어민들은 어장이 사라져 생업에 위협을 받고 있다.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내세우는 제주도의 정책에 의문이 들었다.  
   동계 올림픽 준비가 한창인 평창에서는 썰매 종목 경기가 열릴 슬라이딩 센터 건설로 인해 많은 논란이 일고 있다. 슬로프 공사가 한창인 알파인 경기장과 오는 2017년 말 완공을 목표로 공사 중인 5개 빙상경기장은 환경 파괴와 경기장 사후 활용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많은 환경단체는 활강 경기장이 건설되는 정선 가리왕산 일대의 생태학적 가치가 높다며 공사 중지 가처분 신청을 내기도 했다.
   전국에 설치된 케이블카로 인한 환경파괴도 심각하다. 전국적인 명소인 밀양 얼음골에 설치된 케이블카는 국내 최대 억새 군락지를 훼손시켰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밀양뿐만 아니라 전국의 관광형 케이블카 20곳 역시 환경파괴의 주범으로 지적된다.
   또한 울산 신불산에서 진행 중인 케이블카 설치사업도 지역 주민과 갈등을 겪고 있다. 울산시와 울주군은 지난해부터 총 사업비 600억 원을 투입해 오는 2017년 준공을 목표로 복합웰컴센터 인근에서 신불산 정상 부근까지 신불산 케이블카 설치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케이블카 설치 반대 입장인 통도사 영축환경위원회와 시민단체들은 "울산시와 울주군은 환경을 파괴하고 세금을 낭비해가면서까지 '하고 보자'는 막무가내  식"이라며 "보호지역을 파괴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앞선 사례들을 살펴보며 기자는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자연의 소중함을 느꼈다. 당장의 이익에 눈이 멀어 개발을 하기보다는 먼 훗날 함께 살아갈 자연에 대해 생각해봤으면 한다.  
   최근 정부는 이명박 대통령 시절 진행한 4대강 사업에 이어 섬진강을 포함한 5대강 사업을 추진한다는 의혹을 받아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우리는 4대강 사업을 통해 죽어가는 강과 생태계를 볼 수 있었다. 운하를 통한 경제발전과 침체된 건설업계를 살리자는 취지에서 진행된 4대강 사업은 심각한 환경파괴를 초래할 뿐이었다.
   정부는 과오를 되풀이하지 않아야 할 것이며, 훼손된 강과 생태계의 시간을 되돌리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