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과거사 문제가 한일간 현안으로 대두될 때마다 근본적인 문제해결보다는 임기응변적인 사과와 반성을 반복하면서 양국간의 관계에 타격을 주는 도발적인 행동을 지속하였다. 노무현 대통령이 3월 23일 발표한 ‘한.일관계 관련 국민에게 드리는 글’은 역사왜곡에 이은 독도사태 등 일본의 도발행위를 더 이상 좌시하지 않겠다는 강력한 의지표명이라고 할 수 있다. “각박한 외교전쟁도 있을 수 있을 것”이랄지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유야무야하지 않겠다”는 등 초강경 표현을 보더라도 이번만은 단발성의 불만의 표현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굳은 의지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노무현 대통령의 단호한 발표에 대해 여야는 협조를 약속하며 지지 의사를 밝혔다. 그러면서도 자칫 한일관계가 극단적 감정대립으로 치닫거나 사안의 본질이 훼손되지 않도록 정부가 치밀한 전략아래 신중히 대처할 것을 주문했다. 대부분 한국 국민들 역시 독도문제에 대해 소극적으로 대응하던 예전 정부들과 달리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현 정부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 반면에 일본정부와 정치권은 일단 냉정한 대처를 강조하고 있다. 일본정부는 북핵 6자회담 재개와 일본인 납치사건 등의 해법마련을 위해 그리고 외교적 숙원인 유엔안전보장 이사회 진출에 있어 중국과 한국 등 주변국의 지지를 이끌어내야 할 상황에서 강경한 노 대통령의 발표가 있어 곤혹스러운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한국의 입장에서도 일본과의 회복할 수 없는 관계악화는 바람직하지 않다. 한일간의 관계악화는 일본에 비중을 더 두고 있는 미국과의 복잡한 문제들을 야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북핵문제라든지     동북아에서의 세력균형 문제 등 예상되는 문제들에 대한 철저한 대처방안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강경 일변도의 대응은 한계가 있고 오히려 일본에게 역습의 기회를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이번 기회에 정부는 독도문제에 대해 단호한 의지를 보여주고 후속조치로  법적, 제도적 장치들을 마련하면서 독도문제가 한일간의 전반적인 이해관계에 파급되지 않도록 국지화 시키는데 노력해야 한다.

 독도가 어디에 있는지도 모르는 일본인도 많은데 너무 정치적인 관점에서만 해결책을 찾는다면 역효과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