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발생했던 지진들은 주로 진도 3.0 이하의 여진으로 피해 정도가 작아, 우리나라 사람 대부분은 한반도가 지진 안전지대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지난 12일 경북 경주에서 처음 규모 5.1의 지진이 발생했고, 이어 8시 32분쯤 5.8의 본진이 추가로 발생했다. 이번 경주 지진은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을 일깨워주었다.
 지진이 발생했을 때 가장 먼저 대응에 나서야 할 국민안전처는 이번 지진에서 여러 문제점을 드러냈다. 먼저, 국민안전처 홈페이지는 다운되어 전혀 작동되지 않았다. 국민에게 지진 대피 행동요령을 안내하는 정부 홈페이지가 제 기능을 상실한 것이다. 또, 지진의 진앙인 경주지역의 주민들은 재난이 일어난 지 8분이 지나서야 재난에 대한 문자 메시지를 받았다. 이 밖에도 정부의 미흡한 대처는 수없이 많았다.
 정부의 미흡한 대응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 때도 구조와 수색에서 해양 사고의 전문성은 턱없이 부족했으며, 기관끼리 소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빠르게 수습하지 못했다. 2015년 2월, 메르스가 발병했을 당시에도 우리나라에서 첫 환자가 발생한 뒤 재빨리 추가 감염을 막지 못한 정부의 대응은 거센 비판을 받을만했다.
 세월호 참사 이후 변한 것은 국민뿐이고, 정부 시스템은 변한 것이 하나도 없었다. 이번 지진을 계기로, 전문 인력 운용이나 비상관리 체계에 허점이 없는지 다시 한번 철저하고 세밀하게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국민의 불안감은 절정에 다다른 상황인데, 국민 안전을 최우선해야 할 정부의 대응 자세가 너무 안이한 것 같다. 반드시 정부는 재난 대응 비상 대책을 세워 국민에게 상세히 알려야 할 것이다. 또, 국민들도 경각심을 가지고 상황에 맞는 대처 행동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문승리 (국어국문학과 1년)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