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7월 인구동향'을 보면, 7월까지 누적 혼인 건수는 16만5천100건으로 2000년 인구통계를 작성한 후 최저 수준이다. 혼인 건수는 출생아 숫자와 상관관계가 있다. 지금까지 합계출산율이 가장 낮았던 해는 2005년으로, 2003년에 기록한 역대 최저 수준의 혼인 건수가 시차를 두고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올해 우리나라의 출생아 숫자는 위기 단계를 넘어서서 7월 출생아는 3만3900명으로 이 또한 월별, 누적 기준 모두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저 수준이다. 올해 출생아 숫자가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도 2014년 혼인 건수가 줄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혼인 건수의 감소와 낮은 출산율 모두 우리 사회의 젊은층들이 지속적인 경기침체, 낮은 취업률, 가족가치관의 변화 등으로 결혼과 출산을 미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출산율은 15~49세의 가임기간 연령별 출산율을 합해서 계산하기 때문에 합계 출산율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합계 출산율은 1970∼1974년 4.21명에서, 2015년은 1.24명으로 OECD 회원국 중 최저 수준이다. 합계 출산율이 1.3명 이하인 경우 초저출산 사회로 분류한다고 본다면 이미 우리나라는 초저출산 국가에 진입하였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1974년 "딸·아들 구별 말고 둘만 낳아 잘 기르자", 1980년대 "둘도 많다"에서 2014년 "딸·아들 구별 말고 많이 낳아 잘 기르자"로 빠르게 변화한 인구정책 표어를 보면 더욱 실감할 수 있다. 지난해 정부는 청년 고용 활성화와 신혼부부 주택 지원 등을 담은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16~2020)'을 발표하고 적극적으로 출산을 장려하고 있지만, 지난 8월 25일 "저출산은 대한민국의 명운을 좌우하는 가장 큰 구조적 위험이며 절체절명의 과제입니다."라는 보건복지부 장관의 호소문이 그 결과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저출산 현상을 보면 우리나라의 미래를 알 수 있다. 우리의 현재를 보여주는 자살률 또한 그렇게 낙관적이지는 않다. 저출산은 고령화와 연결되어 부양인구, 생산인구와 같은 용어로 제시된다. 결국 현재 우리사회 어디를 가든지 급격한 저출산으로 인한 충격을 어떻게 줄일 수 있는가에 촉각이 서있다. 그럼 대학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이다. 우선 문제의 본질에 올바르게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국 '교육'이 해답이다. 어느 측면에서의 인기성 있는 해결책은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새로운 인식의 전환을 주도할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대학의 존재는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해 진지한 논의 장(場)을 마련해야 한다. 저출산을 지속가능한 과제로 보고, 우선 해결의 실마리를 갖고 있는 젊은층들을 의사결정에 참여하게 해야 한다. 초저출산이라는 계층 간·세대 간·이데올로기의 문제 해결에서 해결의 당사자인 젊은층과의 소통, 통섭이 지금 우리에게 진정 필요하다.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