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년, 조선이 일본의 힘에 복속된 지 35년 만에 한반도는 해방을 맞이했다. 일본이 연합국에 항복했고, 카이로 회담(1943), 얄타 회담(1945), 포츠담 회담(1945)에 의거 한국은 일본의 지배에서 벗어나게 됐다.
   광복 71년 지난 지금, 독립운동사에 관한 연구는 현저히 부족하고, 부정적 인식도 존재한다. 해방 주체가 우리가 아닌 연합국 덕분이라는 타율적 인식이 팽배하기 때문이다. 친일인사의 영향, 분단의 특수적 상황도 독립운동사 연구가 어렵게 된 요인이다.
   해방은 연합국이 시켜줬을까? 해방의 주체는 누구였을까? 당시 일본은 아시아 최대 강자이자, 중국(1937), 미국(1941)과 동시대에 전쟁을 치렀을 정도로 강대국이었다. 임시정부는 일본과 대적하기 어렵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최종 목적인 자주독립 국가 건설을 위해 효과적인 방법이 필요했다. 1940년대 세계가 전쟁으로 혼란했을 때, 임시정부는 일제의 반대세력으로 세계대전에 참전해 승전국 자격을 얻고자 했다. 그래서 크게 두 가지의 강령을 내세웠다. 첫째는 군사 간부를 양성하는 것, 둘째는 실력을 양성해 민족세력을 통합하는 것이다. 임시정부는 자주독립 국가 건설을 위해 차근차근 준비하고 있었다.
   OSS(美 CIA의 전신)의 국내 침투작전을 준비해왔고, 영국 육군과 연합해 버마 전선에 참전했다(영국 1개 사단을 구출하는 전과를 세웠다). 또한 중국과 연합해 항일운동을 전개하기도 했다. 이러한 일련의 작전을 통해 연합국으로부터 국가를 인정받고자 했다. 만일, 해방 주체가 우리가 아닌 외세가 된다면, 그들에 의해 좌지우지될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연합국은 카이로 회담, 얄타 회담 등에서 조선의 독립을 언급했다. 하지만 미국의 입장은 달랐다. 1945년 8월 초 일본의 항복이 기정사실화됐다. 그러나 임시정부는 연합국의 기존 약속과 달리 승전국의 지위를 얻지 못했다. 심지어 미국은 패전국에 할 법한 신탁통치를 한국에 구상했다(1943년 루즈벨트-이든 회담에서 한국, 인도차이나가 미개하다는 명분으로 20~30년의 신탁통치를 계획하기도 했다). 임시정부를 비롯한 독립운동 세력은 승전국 지위를 위해 연합국에 인적자원과 물자를 지원해왔었다. 그러나 미국은 정치·이념 논리로 한국을 독립국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한반도는 지리적으로 미·소의 권역 충돌에서 매우 중요한 지역이었다. 미국은 그러한 정치적 이익 때문에 소련과 협의해 38도선을 나누고 한반도를 점령했다. 또한, 미·소는 신탁통치를 공식화하기 이른다. 일부 좌익을 제외한 국민들은 신탁통치를 거세게 반대했다. 또다시 식민지배를 받기 싫다는 목소리였다. 1948년 통일된 국가를 건설하지 못했지만, 우리의 손으로 정부를 수립했다. 만일 독립 의지가 없고 일제에 귀속됐다면 미국의 20~30년 신탁통치 구상안에 어떻게 대처했을까? 또, 독립국가를 건설할 수 있었을까?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해방의 주체가 우리가 아닌 연합국이라는 타율성론이 존재한다. 연합국이 일본을 패망시켰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독립이 앞당겨지게 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연합국은 일본이 공공의 적이었기에 싸운 것이지, 우리를 위해 싸운 것은 아니다. 일제강점기, 우리 민족은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1919년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이어 사법부, 행정부, 입법부를 구성, 미래를 준비해왔고 1948년 우리 스스로 정부를 만들어내는 결실을 맺는다. 누군가의 힘의 논리를 벗어나 우리의 힘으로 수립한 정부였다. 오늘날 독립운동가의 역할은 미진했고, 연합국이 해방의 주체인 양 평가하고 생각하는 사람이 꽤 존재한다. 하지만 연합국은 정치논리에 따라 임시정부를 대(對)일 세력으로 이용했고, 소련의 확장을 막기 위해 우리의 자주독립을 무마시킨 장본인이다. 막강한 일본의 강압 속에서 승전국 자격을 얻기 위해 분주히 노력하고, 자주독립국가를 구성하고자 희생한(주체적인 삶을 살아간) '우리나라 독립운동가'가 해방 주체가 돼야 하지 않을까?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