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정국이 본격화되면서 전북지역의 전북 몫 찾기 운동의 열기가 더해지고 있다. 전북 몫 찾기 운동은 대선정국을 맞아 낙후된 지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책으로써 전북지역을 방문하는 대선주자들의 지역 공약에도 상당 부분 영향을 미치고 있어 긍정적이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전북지역의 낙후의 문제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북의 잘못이 아닌 과거 특정 지역 위주의 국가 정책으로부터 비롯된 소외와 차별의 문제이다. 참여정부가 들어서면서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 해소를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물리적 분산을 통한 지역발전전략을 선택하게 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비수도권 10개 지역에 혁신도시를 건립하는 정책이었다. 이 정책은 지방에 혁신도시를 조성하여 수도권의 공공기관을 이전하고, 행정중심복합도시 등 지역별 자립 기반을 구축할 수 있는 네트워크형 공간 정책의 성격을 가진다. 그런데 MB정부 들어서는 전국을 5+2광역경제권으로 묶고 30대 선도 프로젝트, 과기벨트, 4대강사업을 통한 지역경쟁력 강화 정책을 추진하게 되었는데 전라북도의 경우에는 이 정책이 호남 1권역, 영남 2권역으로 설정됨으로써 오히려 전북지역은 전남·광주 중심의 경제권역으로 묶이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영남을 TK(대구·경북)권역과 PK(부산·경남)권역으로 구분한데 반해 호남은 전남·광주권역으로 일원화해 버림으로써 전북지역이 독립된 권역이 아닌 전남·광주권역의 주변부로 예속되는 결과를 만든 것이다. 정부의 지역 정책이 결과적으로 전북지역은 비수도권이라는    1차 차별, 호남권역이라는 2차 차별, 그리고 호남권에서도 전북이라는 3차 차별의 문제를 낳는 원인을 제공한 셈이다.
 차별의 문제는 국민연금기금운용본부가 전주로 이전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은행 전북지역본부의 화폐수급 업무에서도 그 심각성을 보여 준다. 5년 전 한국은행 전북본부의 화폐수급 업무가 광주전남본부로 통폐합되면서 도내 금융사들은 연간 2조 원대의 현금 다발을 들고 광주를 오가는 현실이 전북의 민낯이다. 뿐만 아니라 호남권 전체 공공기관 49개 중 전북지역에 있는 공공기관은 4개로서 그 비율이 겨우 8%에 불과하고 나머지 92%가 전남·광주에 편중돼 있다. 그런데 이런 와중에서도 정부는 전주혁신도시에 LX국토정보공사의 본사가 이전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북지역본부를 광주·전남지역본부로 흡수 통합하는 구조조정안을 밝히고 있다. 또 하나의 3중 차별인 셈이다. 하지만 다행스럽게 전라북도는 지난 1월 31일 새해 10대 핵심 프로젝트와 44개 대선공약 과제를 발표한 바 있고 광주에만 지역본부나 지사가 있는 공공기관 20곳과 특행기관 7곳의 전북본부 신설과 승격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대선정국에서는 전북 몫 찾기가 반드시 현실이 되어 고질적인 지역 차별의 문제가 해결되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