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만제 교수(신문방송학과)

 새 시대가 열렸습니다. 국정농단, 불통 시대, 그리고 탄핵이라는 아픔을 뒤로하고 우리 사회는 국민주권과 화합, 소통 시대, 새로운 미래로 힘차게 나아가고 있습니다. 누구든지 꿈과 희망을 품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세상으로 가기 위해서는 우리 모두 아는 바대로 소통 수단인 언론을 바로잡고 서로서로 소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언론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가운데, 지난 시절 많은 언론들이 정치권력의 하수인이 되고 돈벌이 수단으로 경쟁에 내몰리는 신세가 되었습니다. 권력과 환경을 감시하는 본연의 기능을 다하지 못했습니다. 2014년 세월호 침몰 현장에서 나온 '기레기', 2016년 겨울부터 촛불광장에서 환영받지 못한 공영방송을 포함한 일부 언론의 취재진을 소환하지 않더라도, 대통령 탄핵의 책임에는 파행적 언론이 큰 몫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역설적이게도 촛불정국과 함께 탄핵 여론을 이끈 것 또한 일부 언론들의 진실을 밝히려는 피나는 노력 덕분인 것도 사실입니다.
새 정부 출범에 따라 언론개혁 요구가 큽니다. 15일 발표된 여론조사에 따르면 새 정부의 개혁 과제로 검찰개혁(24.0%)과 정치개혁(19.9%)에 이어 언론개혁(13.7%)이 제시되었습니다. 이는 노동개혁, 재벌개혁, 관료개혁보다 높은 기대입니다. 언론개혁은 우선 공영방송의 지배 구조, 즉 사장과 이사를 민주적으로 임면하고, 운영하도록 제도를 고치는 것이 급합니다. 정치권력의 영향에서 벗어나도록 언론의 독립성과 제작 자율성을 뿌리내리게 해야 합니다. 과거 공영방송을 엉망을 만든 사람들의 죄과를 따지고 억울하게 쫓겨난 언론인들이 제자리를 찾도록 해야 합니다. 종편채널이 도입 취지와 법에 맞게 제대로 운영되는지도 따져봐야 합니다. 언론이 이윤추구 기업으로 전락하고 언론사주의 이익을 대변하도록 사적으로 이용되는 폐해도 청산되어야 합니다. 이번 대선의 문제점으로 부각된 '가짜 뉴스'에 대한 대응도 필요합니다. 이는 거짓을 뉴스처럼 만들어 사람을 속이고 여론을 왜곡하는 범죄행위입니다. 재정적 어려움을 겪는 지역 언론, 특수 목적 중·소 언론들이 시장논리에서 벗어나 언론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조치도 마련되어야 합니다. 언론들이 자신의 입맛에 맞게 어젠다를 선택하고 자신들의 관점에서 틀 지우는 보도 관행도 바뀌어야 합니다. 독자, 시청자, 이용자 또는 시민들이 어떤 뉴스를 희망하고 어떤 관점에서 뉴스를 바라보는지를 끊임없이 조사하고 연구하는 시민 저널리즘을 실현하는 것이 새로운 언론의 방향이 될 것입니다.
젊은이들의 언론에 대한 관심과 참여도 확대되어야 합니다. 인터넷, 모바일 시대가 되면서 기존 신문이나 방송으로 뉴스를 접하는 이용자수는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인터넷 모바일 미디어, SNS는 사회문제와 같은 무거운 뉴스보다 흥미 위주의 부드러운 뉴스를 실어 나르는 데 더 익숙합니다. 이런 이유들로 언론사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언론이 취약한 사회가 건강한 사회가 되기는 쉽지 않습니다. 건강한 언론을 위해서는, 이번 19대 대선에서 젊은이들이 높은 투표율을 보인 것처럼 정치, 경제, 사회 그리고 문화 문제를 다루는 언론에 대해 젊은이들이 높은 관심을 갖는 것이 필요합니다. 'N포세대', '헬조선', '청년실업'과 같은 현실 문제를 냉정하게 바라보며 관심을 갖고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선거에 참여하면 정치권이 젊은이의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처럼, 젊은이들이 언론에 관심을 기울이면 우리 사회가 청년문제 해결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게 됩니다.
우리는 새로운 변화, 미래로 가는 길을 선택했습니다. 워치타워 기능을 수행하는 건강한 언론이 함께 한다면 우리는 언제나 꿈과 희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누구든 서로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소통을 원한다면, 그곳이 바로 모두가 광장에서 촛불과 함께 그리던 그런 우리의 미래가 아니겠습니까?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