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청년실업률이 9.4%를 기록해 1999년 외환위기 시절 10.7% 이후 가장 높게 나타났다. 청년들의 고용절벽이 현실로 확인된 것이다. 문재인 정부가 집권하면서 제1 국정과제로 일자리를 내세우고, 우여곡절 끝에 추경예산까지 통과시켰지만 그다지 희망이 보이지 않는다.

 더 큰 문제는 청년실업률이 당분간 더 높아질 수밖에 없는 구조적 요인에 있다. 청년 인구구조상 일자리 숫자에 비해 구직자 수가 너무 많다. 정부의 일자리 정책이 오히려 실업률을 높이기도 한다. 사회적 합의 없이 진행되는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최저임금 인상 등은 고용주 입장에서 부담될 수밖에 없다. 공무원 확대 계획은 이른바 '공시족'만 양산하고 있다.
 사정이 이러하니 문재인 정부의 청년실업 대책에 그다지 신뢰가 가지 않는다. 그렇다고 이전 정부처럼 친(親)기업이나 성장주도 정책에 기댈 수도 없다. 이미 '고용 없는 성장'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경제가 아니라면 다음과 같은 사회적 해법에 주목해야 한다.
 첫째, 청년들의 눈높이에 대한 오해를 풀어야 한다. 기성세대는 청년의 취업난이 그들의 눈높이가 지나치게 높기 때문에 나타난다고 진단하는 경향이 있다. 일부 눈높이가 높은 경우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은 취업을 위해 많이 노력한다. 그럼에도 취업을 못하는 이유는 좋은 일자리가 없기 때문이다. 청년 탓이기보다 구조적 문제라는 것이다.
 둘째, 부모의 과잉기대를 풀어야 한다. 우리 부모들의 교육열과 자녀사랑은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교육열은 한국의 성장 동력이기도 하다. 그러나 문제는 부모 기대가 지나치다는 데에 있다. 이 때문에 청년들은 자신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기보다, 사회적 위세와 부모의 기대에 충족하는 직업을 갖기 위해 젊음을 소비한다. 부모가 자녀를 대신할 수는 없다. 자녀가 원하는 삶을 살 수 있도록 부모가 변해야 한다.
 셋째, 교육 시스템이 바뀌어야 한다. 청년실업은 우리의 과잉 교육과 이로 인한 인력수급의 불일치 때문에 심화되고 있다. 고교 졸업생보다 대학 정원이 많은 현실에서 제대로 된 대학 교육이 이뤄질 수 없다. 교실은 있지만 학생이 사라진 대학에서 어떻게 청년의 미래가 만들어지겠는가? 우리 시대 청년에 적합한 교육이 절실하다.
 청년실업은 사회적 시스템의 총체적 결함 때문에 생겨나는 구조적 문제다. 단순히 정부의 의지로 정규직 몇 개 만들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이제는 사회 전체가 나서야 한다. 우리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하나하나 풀어나가는 결연한 심정으로 청년실업에 접근해야 한다. 그래야 그나마 희망이 있다.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