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란에는 연속기획 <우리 시대 사유의 지평과 미래>란 제목으로 의사소통교육센터의 <세계고전강좌>와 공개 강좌 <글로벌인문학>, 지역학(익산학) 강연 원고를 번갈아 싣는다. 국내외 여러 석학들이 함께 참여하는 연속기획을 통해 인간 이해와 사유의 깊이를 확인하기 바란다. /편집자

 

 

 맹자와 『맹자』

 맹자(B.C. 372?~B.C. 289?)는 공자(孔子) 사후 100년쯤 뒤에 태어났는데, 그가 활동한 시기는 기원전 4세기경인 전국시대이다. 공자가 살았던 춘추시대는 주(周)나라 왕실과 제후 간의 위계가 어느 정도 지켜지고 있었으므로, 공자는 『춘추』를 지어 소위 '존주대의(尊周大義)'를 말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맹자 당시의 전국시대는 더 이상 주나라 왕실의 회복을 바랄 수 없었으며, 여러 제후들이 천하를 놓고 겨루는 형국이었다. 그래서 맹자는 어떤 제후이든 왕도(王道)정치를 행하면 왕자(王者)가 될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왕도정치란 바로 민본주의로서, '군주가 가볍고 백성이 소중하다(君爲輕 民爲重)'는 설이다. 당시의 군주들은 부국강병과 영토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었기에 이러한 도덕정치론은 실행되기 어려웠다. 결국 맹자는 자신의 사상을 실현해줄 군주를 만나지 못한 채 고국으로 돌아와야 했다. 고국에 돌아온 그는,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에 의하면, 자신의 문도들과 함께 『맹자』를 저술하였다.
『맹자』에 보이는 주요 사상은 인의(仁義)사상, 성선설(性善說), 인정론(仁政論), 민본주의(民本主義) 등인데, 특히 인의사상이나 성선설은 공자 학문의 발전적 계승이라 할 수 있다. 공자는 인(仁)만을 강조한 반면 맹자는 인의를 함께 말씀했으며, 인(仁)·의(義)·예(禮)·지(智)를 사람의 본성이라 하고, 사단(四端)의 마음은 사람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다 하여 사람의 본성과 마음에 대하여 본격적으로 논했기 때문이다.
 인의사상과 성선설을 기반으로 하는 인정론, 민본주의는 당시의 제후들에게 환영받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명(明)나라 태조 주원장(朱元璋)에게는 '군주를 무시했다'는 지적을 받아 유교 경전의 교과 과목에서 삭제되는 갈등을 겪기도 하였다. 그러나 오늘날 민주주의의 입장에서 보면 2천 400년 전에 이처럼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사상을 갖고 있었다는 것에 놀라움을 금치 못할 뿐이다.
 이러한 사상을 담고 있기 때문에, 『맹자』는 『논어』와 함께 유가경전의 대표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으며, 맹자 역시 아성(亞聖)이라 불리며 공자와 함께 추존되고 있다.

 사람의 본성은 선하다, 성선설


 소를 양으로 바꾼 마음
 맹자의 주요 사상의 기초가 되는 것은 성선설이다. 맹자는 사람의 본성이 선하다고 하였다. 맹자는 무엇을 근거로 성선을 말하였나?
 맹자가 제나라 선왕(宣王)을 만나 왕도정치에 대하여 말씀하는데, 맹자가 말씀하는 왕도란 '백성을 보호하고 왕 노릇을 하는 것'이었다. 선왕은 자신과 같은 사람도 백성을 보호할 수 있는지 묻는다. 맹자는 "가능합니다"라고 답하고, 자신이 들은 이야기 하나를 그 근거로 제시한다.
 왕께서 당상에 앉아 계시는데, 소를 끌고 당하로 지나가는 자가 있었습니다. 왕께서는 이를 보시고 "소가 어디로 가는가?"하고 물으셨고, 그는 "장차 종의 틈을 바르는데 쓰려고 잡으러 가는 중입니다"라고 답하였습니다. 그러자 왕께서 "놓아주어라. 내가 그 두려워 벌벌 떨며 죄 없이 죽는 곳으로 나아감을 차마 볼 수 없다" 하셨고, 그가 "그렇다면 종에 틈을 바르는 일을 폐지하오리까?"하자, 왕께서는 "어찌 폐지할 수 있겠는가. 양으로 바꾸어 쓰라" 하셨다고 합니다.
 소를 양으로 바꾼 그 마음을 맹자는 '불인지심(不忍之心)', 차마 못하는 마음이라고 설명하였다. 차마 못하는 마음이란 남을 차마 해치지 못하고 남의 불행과 고통을 차마 보지 못하는 마음이다. 소에게도 이런 동정과 연민을 느끼는데, 백성에게 그런 마음을 가지지 못하겠는가. 백성에 대해서도 이러한 마음을 갖는다면 백성을 보호하고 위하는 정치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맹자는 답해준 것이다.

 우물에 들어가려는 어린아이를 보고 깜짝 놀라 측은해하는 마음
 '불인지심'은 '불인인지심(不忍人之心)', 사람을 차마 해치지 못하는 마음이라고도 한다. 맹자는 이를 설명하면서, 그 유명한 유자입정(孺子入井)의 비유를 통해 사단(四端)을 설명한다.
 사람이면 누구나 사람을 차마 해치지 못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 …… 사람이면 누구나 사람을 차마 해치지 못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는 까닭은, 지금 사람들이 어린아이가 장차 우물로 들어가려는 광경을 갑자기 보았을 경우, 모두 깜짝 놀라고 측은해하는 마음을 갖게 된다. 이것은 어린아이의 부모와 친분을 갖으려고 해서도 아니며, 자기가 사는 고장 사람들과 친구들에게 인자하다는 명성을 바라서도 아니며, 잔인하다는 소리를 듣기 싫어서 그러는 것도 아니다.
 우물에 들어가려는 어린아이를 보고서 깜짝 놀라 그 아이를 꺼내오는 반응은 이성적 판단이나 계산을 통해 나오는 것이 아니다. 아무런 생각 없이 그야말로 '본능적으로' 나오는 반응인 것이다. 이 반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불인지심, 즉 인심(仁心)인데 이것이 바로 선한 본성이 발현된 모습이다.
 이를 통해 살펴보건대, 측은지심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수오지심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사양지심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며, 시비지심이 없으면 사람이 아니다. 측은지심은 인(仁)의 단서요, 수오지심은 의(義)의 단서요, 사양지심은 예(禮)의 단서요, 시비지심은 지(智)의 단서이다.
 사람이나 동물을 측은해하고 가엽게 여기는 마음(측은지심), 자신의 불선(不善)을 부끄러워하고 남의 불선을 미워하는 마음(수오지심), 남에게 양보하고 훌륭한 사람을 존경하는 마음(사양지심), 선과 악을 판단하여 옳고 그름을 가리는 마음(시비지심), 이 네 가지 마음이 바로 사단이다.
 단은 실마리라는 의미인데, 사단은 인·의·예·지의 4가지 덕이 우리의 본성으로 자리하고 있다가 그것이 밖으로 발현되어 나타나는 것이, 실타래의 끄트머리와 같다는 데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우리가 실타래를 풀기 위해 실의 첫머리를 찾듯이, 선한 본성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가장 먼저 보아야 할 것이 바로 이 네 가지 마음인 것이다. 이 네 가지 마음을 확인함으로써 우리는 인간의 본성이 인·의·예·지의 선함임을 알 수 있다. 맹자의 성선설은 본성의 선함을 일상적 마음을 통해 증명하므로 쉽게 이해되고 널리 적용된다. 이것이 이 사상의 위대함이다.

 민본주의(民本主義)와 인정론(仁政論)


 맹자는 '백성이 최고이고 사직(국가)이 그 다음이고 군주는 최하이다(民爲貴 社稷次之 君爲輕)'라고 강조하였다. 백성을 위해야 한다는 위민사상(爲民思想)은 유가의 기본이라 할 것이다. 『서경』에도 '백성은 나라의 근본 뿌리이니, 근본 뿌리가 튼튼해야 나라가 편안하다'라고 하였다. 이것이 민본(民本) 사상이다. 그러나 맹자는 이것을 몇 등급 뛰어넘어 당시 군주주의 시대에 비춰볼 때, 혁명적 발상이라 할 수 있는 말씀을 거침없이 쏟아내었다.
 앞에서 언급한 '사람을 차마 해치지 못하는 마음'으로 행하는 정사(政事)가 바로 '인정(仁政)'이다. 맹자는 이 인정이 '토지 제도를 개선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고 하였다. 백성들에게 균등하게 토지를 지급해주는 정전제(井田制)를 시행하면 백성들이 일정한 수입을 가질 수 있고, 그렇게 되면 백성들은 타고난 선한 마음을 간직할 수 있다. 전국시대에는 영토 확장을 위한 전쟁이 계속되어 백성들의 생활고가 극에 달하였다. 이런 상황에서는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사단의 마음'이 발현될 수가 없다. 그래서 맹자는 백성들을 풍족하게 하는 것을 제일의 목표로 삼은 것이다.
 '인정'의 과제가 백성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것이라면, 인정의 목표는 무엇인가? 백성의 생활을 풍족하게 하는 것이 인정의 최종 목표는 아니다. 인정의 목표는 백성들을 도덕과 인의로 가르쳐 누구나 본연의 성을 찾게 하는 것이다. 사람이면 누구나 선한 본성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에게는 지켜야 하는 도리가 있는데, 배불리 먹고 따뜻이 입고 편안히 살면서 가르침이 없으면 금수(禽獸)와 같아진다. 이 때문에 성인인 요(堯)임금이 이것을 염려하여 설(契)이란 신하를 사도(司徒)를 삼아 인륜을 가르치게 한 것이다."
 인륜은 부자간의 친애, 군신간의 의리, 국가에 대한 충성, 부부간의 사랑, 어른과 어린이의 질서, 붕우간의 신의로, 인간이 지켜야 할 윤리도덕이다.
 공자 역시 군주가 해야 할 일의 선후를 '서(庶)-부(富)-교(敎)'로 논하였다. 즉 첫째는 백성들이 많아야 하고, 둘째는 백성들을 부유하게 해주어야 하며, 이렇게 한 뒤에 가르쳐야 한다는 것이다. 춘추시대 제(齊)나라의 명재상인 관중(管仲)도 "의식이 풍족한 뒤에 예절을 안다"라고 하였으며, 또 "예(禮)·의(義)와 염(廉)·치(恥)는 나라를 유지하는 네 개의 끈이니, 네 개의 끈이 제대로 펼쳐지지 못하면 나라가 마침내 멸망한다"고 하였다. 위정자는 백성을 부유하게 하는 것을 급선무로 삼아야 하지만, 거기에 그쳐서는 안 되고 백성을 교육해야 한다는 것이다.
 

 맺음말


 이제는 의식(衣食)은 풍족한 사회가 되었으나, 인간의 도리는 내팽개쳐진지 오래이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사람의 본성이 선하다고 한 맹자의 주장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과연 사람의 본성이 선한가? 맹자가 말씀한 '본성의 선함'은 태어날 때 본래 가지고 있는 선함이다. 본연적 성품의 선함인 것이다. 그래서 맹자는 "대인(大人)은 적자(赤子)의 마음을 잃지 않은 자이다"라고 말씀하였다. 태어난 그대로의 순수한 마음을 간직한 사람이 대인이라는 것이다. 아무리 선한 성품을 가지고 태어났다 하여도 그것을 잃지 않고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자본주의, 개인주의가 물질만능주의로 변질된 지금의 시대에 맹자의 말씀을 믿기는 쉽지 않다. 인간을 다만 욕망 추구의 존재로만 본다면 과연 사양지심은 손해지단이 될 것이다. 그러나 맹자는 인간을 믿었다. 인간의 일상적이고 즉흥적인 마음에서 거대한 본성의 선함을 보았다. 모든 인간은 이러한 선한 본성을 지녔으므로, 본성을 따라 착하게 살면 결국은 이익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
 요즘엔 착하게 살면 손해라고 한다. 그러나 맹자는 착하게 살면 이익이라고 했다. 이 말은 사람을 믿고 사랑하는 마음에서 발로된 것이다. 맹자는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성선설과 인정론 등을 주장하였다. 그렇다면 우리도 무엇이 진정한 삶의 즐거움이고 이익인지, 무엇이 인간 본연의 모습인지에 대하여 인간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고 생각해볼 수 있지 않을까? 맹자의 사상이야말로 오늘날의 물질만능과 이기주의에서 파생된 상호간의 불신과 불만을 해결하고, 서로 사랑하고 화합하며 살아갈 수 있는 상생의 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성백효 (고전번역교육원 명예교수, (사)해동경사연구소 소장)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