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우리 조상은 동굴에 간단한 그림을 그려서 의사를 표현했고, 이후 한자가 들어오게 되면서 지명, 인명 등을 한자로 표기하기 시작했다. 필자는 앞으로 몇 주에 걸쳐서 선조들이 우리말을 표기하려 한 방식에 대해 훑어보고, 나아가 세종대왕의 우리말에 대한 인식까지 알아보려 한다. /편집자

 이번 호에서 다루려 하는 것은 상급생들에게 전하는 톡 중 빈번하게 사용되는 '-에요', '-예요'의 문제이다. 아래 문항부터 풀어보도록 하자.  
  (1)
  가. 제가 가져갈 게
    (무엇이에요 무엇이예요)? 
  나. 제가 가져갈 게
    (뭐에요 뭐예요)? 
 
 특히 위 예시는 구어체이기 때문에 '한컴오피스 한글' 프로그램이라고 해도 잘 걸러주지 못한다. 대중매체의 자막에서도 위 표기는 제대로 잡히지 않을 때가 있다. 그러니 일반인들은 갈팡질팡할 수밖에 없다.
 위 문제를 맞히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이)에요/(이)예요'의 앞 말이 자음으로 끝나는지 아니면 모음으로 끝나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무엇'은 자음(ㅅ)으로 끝난 것이며, '뭐'는 모음(ㅓ 또는 ㅝ)으로 끝난 것이다. 자음과 모음의 차이만 확인하면 된다. 자음으로 끝난 경우는 그 뒤에 무조건 '-이에요'를 붙이고, 모음으로 끝난 경우는 무조건 '-예요'를 붙이면 된다. 전자 '-이에요'의 '에'에서는 문자상 'ㅓ'를 추출할 수 있고, 후자 '-예요'의 '예'에서는 'ㅕ'를 추출할 수 있다.
 이제 다른 방향으로 접근해 보자. '공책(자음으로 끝난 말)'과 '노트(모음으로 끝난 말)', 이 두 낱말 뒤에 이어지는 말을 생각해 보자. 
 
  (2)
  가. 이건 내
    (공책이었는데  공책이였는데)
  나. 이건 내
    (노트었는데  노트였는데)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었는데(과거 상황)'를 쓸 상황은 꽤 많다. (2나)에서 '노트었는데'라 말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보통 사람이라면 '노트였는데'라 말한다. '-였는데'의 '였'에서 'ㅕ'가 추출될 수 있기에 '-예요/에요'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시키면 된다. '노트예요'의 '예'에서 '여'를 추출할 수 있다. 이는 모음으로 끝난 명사 '노트'인 경우에는 '-예요'를 결합시킨다는 것과 정확히 일치하게 된다. 그래서 헷갈릴 때는 과거의 상황 '-었는데'를 가지고 판단하면 틀릴 이유가 없게 된다. 
 관련하여 다음을 보도록 하자. 
  (3)
   가. 왕이었어, 왕이어서,
      왕이어요, 왕이에요 
  나. 공주였어, 공주여서,
     공주여도, 공주예요 
 
 (3)에 제시된 예는 모두 맞는 표기이다. (3가)∼(3나)의 첫 예는 과거의 상황이다. 그것을 통해 (3가)의 'ㅓ'와 (3나)의 'ㅕ'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한 가지 알아 둘 것은 '-이어요'에서 '-이에요'가 나왔다는 것이다. 그러니 두 형태는 같은 방식으로 이해하면 된다. '왕이어요'가 맞다면 '왕이에요'도 맞는 표기이며, '공주여요'가 맞다면 '공주예요'도 맞는 표기이다. 그 기준형을 과거 상황, '왕이었어', '공주였어'로 잡는다면 헷갈릴 이유가 없겠다. 과거의 상황을 만드는 것이 어렵다면 모두에서 말한 것처럼 자음으로 끝난 명사인가 모음으로 끝난 명사인가를 따져 보면 된다. '왕'은 자음으로 끝난 명사이므로 무조건 그 뒤에 '-이었어', '-이어서', '-이어요', '-이에요'를 붙이고, '공주'는 모음으로 끝난 명사이므로 무조건 그 뒤에 '-였어', '-여서', '-여요', '-예요'를 붙이자는 것이다. 연습 삼아 몇 가지 문제를 더 접해 보기로 하자. 
 
 (4)
 가. 걔들은(쌍둥이에요  쌍둥이예요) 
 나. 우리는 연인(사이에요 사이예요)
 다. 답이 (이거에요  이거예요)
 라. 답이 (이것이에요  이것이예요)
 
 (4라)만이 전자가 정답이고 나머지는 후자가 정답이다. 특히 'ㅣ'로 끝나는 명사일 때는 주의를 요한다. 명사의 마지막 글자에 받침이 있을 때는 '-이에요'를 선택하면 되는데 '쌍둥이'에는 마지막 글자에 받침이 없다. '쌍둥이-이에요→쌍둥이예요'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쌍둥이에요'의 마지막 자음이 'ㅇ'이라고 착각하기 쉽다는 것이 문제이다. '연인 사이에요'와 '연인 사이예요'를 대비해 보자. '사이-이에요'는 '사이예요'로 줄어든다. 다만 '-이에요'에 익숙한 사람들은 '사이에요'를 맞는 것으로 착각하기 쉽다는 것이다. 오히려 정상적인 표기 '사이예요'를 틀렸다고 보기 쉽다. 그런데 '사이에요'와 '사이예요'는 상황에 따라 모두 맞는 말이다. 전자는 '4이에요'라는 뜻이고 후자는 '사이-이에요'란 뜻이다. 물론 전자는 '4예요'로 쓸 수 있다. 또 전자는 '(걔는) 우리 사이에 (없어서는 안 되지)'를 높인 '(걔는요) 우리 사이에요 (없어서는요 안 되지요)'처럼 쓸 수도 있다.
 ☞ 요즘 드디어 '왕이여서', '왕이여도', '왕이였다'와 같은 표기가 우리의 눈을 매우 오염시킨다. '되-'와 관련해서도 '되여서', '되여도', '되였다'라고 한다. 위와 같이 적는 방식은 이른바 북한 맞춤법이다. 냉전 체제 같으면 간첩으로 오인받기 십상이다. 신고하면 포상금이 엄청났었다. 이제는 간첩에 대해서도 신경 쓰지 않고 살아가니 큰 문제는 없을 텐데, 그래도 괜한 불이익을 받지 않았으면 한다. '-이예요', '-이여요'는 없다는 것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임석규 교수(국어국문학과)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