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 메시지의 출현도 엊그제 같은데 이제는 카톡,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수많은 정보가 오가고 있다. 이러한 때 지인들끼리 가상공간에서 구어체로 대화를 나누는 상황이 많아지게 된다. 앞으로 몇 주에 걸쳐 한 번 알아두면 유용하게 쓰일 몇몇 형태들을 알아보기로 한다. /편집자

 

 이번에는 사투리와 표준어의 구별을 요하는 몇 단어를 점검해 보기로 한다. 우선 다음 문제를 풀어 보면서 시작하자.


(1)가. 문을 안 (잠궈 잠가)
도둑이 들었다. (잠○장치)

나. 김치를 (담궈 담가)
먹는 횟수가 늘었다. (담○질)

다. 식욕을 (돋구는 돋우는)
음식이 없을까? (북돋○다)
식욕을 (돋구는 돋우는)
음식이 없을까?(발돋○한다)


위 문제에서의 정답은 모두 후자이다. TV 자막에서도 "밸브 안 잠궈 참변"이라는 기사 제목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잠궈'라는 사투리가 워낙 광범위하게 퍼져 있어 표준어 '잠가'보다는 '잠궈'라고 표기하는 것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잠궈'라는 말을 쓰려면 기본형(으뜸꼴)을 '잠구다'로 이해해야 한다. '잠궈', '잠궈라'에서 '-어', '-어라'를 뺀 나머지가 '잠구-'이기 때문이다.
기본형에 대해 쉽게 알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관련되는 단어를 생각해 보는 것이다. 위 (1)에서 붉은 글씨로 된 부분이 관련 단어이다. '잠굼장치'라고 하는지, '담굼질'이라고 하는지, '북돋군다/발돋굼한다'라고 하는지를 생각해 보면 '잠구-', '담구-', '돋구-' 등이 틀렸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기본형이 '잠구-'라면 '잠구고', '잠구니', '잠구면', '잠구어라' 등도 옳은 표기일 것이다. '잠그고', '잠그니', '잠그면' 등으로 쓰다가 '-어(라)'가 붙은 경우에만 '잠궈(라)'로 적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잠그+아(라)'의 결합은 '잠가(라)'로 쓰는 것이 옳다. '따르+아(라)'를 '따라(라)'로 표기하는 것과 같은 유형이다.
(1나)의 '담궈/담가' 또한 같은 방식으로 설명된다. '담궈'를 옳은 표기라고 한다면 기본형이 '담구다'가 되어 '담구고', '담구니', '담구면' 등으로 써야 한다. 동요 하나를 생각해 보자.

 
(2)초록빛 바닷물에
두 손을 담그면 / 담구면

초록빛 바닷물에
두 손을 담그면 / 담구면
파란 하늘빛 물이 되지요,
어여쁜 초록빛 손이 되지요.

  초록빛 여울물에
두 발을 담그면 / 담구면

  물결이 살랑 어루만져요
물결이 살랑 어루만져요.


"초록빛 바닷물에 두 손을 (담구면/담그면)"에서 전자가 어색하다고 느끼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혹시 '담구면'이 어색하지 않다고 한다면 그동안 잘못된 표기에 그만큼 많이 노출되었음을 반증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 앞으로는 '담그다'를 기본형으로 하여 '담그+고'는 '담그고'로 적고 '담그+아(라)'는 '담가(라)'로 쓸 수 있도록 하자.
한편, (1다)의 '돋구-'는 '돋우-'로 적어야 옳지만 여기에 대해 알고 있는 사람은 의외로 적다. 그만큼 잘못된 말에 무수히 노출되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돋우-'는 의외로 많이 쓰인다. '화'를 돋우는 것은 물론 '지면'을 돋우고, '식욕'을 돋우고, '사기'를 돋우고, '싹'을 돋우고 등 여러 단어와 결합되어 쓰인다. 다음 문제를 풀어 보면서 마무리하기로 하자.


(3)가. 단무지는 식초에 오래
(담궈 담가) 놓으면 안 된다.

나. 삼촌 댁에 꼭 (들려라 들러라).

삼촌 댁에 (들리고 들르고)
나면 꼭 좋은 일이 생긴다.

삼촌 댁에 (들린 들른)
후에 집으로 가거라.

다. 시험을 잘 (치뤄서 치러서)
기분이 좋다.

시험을 잘 (치룬 치른) 후에 만나자.

시험을 잘 (치루고 치르고) 만나자.


(3)에 제시된 여러 문제에서 정답은 모두 후자이다. (3나), (3다)에 제시된 말은 '잠금장치', '발돋움' 등과 같이 관련된 단어를 찾을 수 없다. 외우는 수밖에 없다. '들르다', '치르다'가 기본형이다. '따르+아→따라'에서와 같이 '들르+어→들러', '치르+어→치러'를 이해하면 된다.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들러리', '치르치르 (치킨)'에 대한 얘기를 할 수 없다. (3)의 예들과는 뜻이 많이 다르기 때문이다. 아무튼 '들러리', '치르치르 (치킨)', 이 두 가지가 (3)에 제시된 문제를 푸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삼촌한테 '들러' 보면", "시험을 '치르고' 나서"와 대비해 보면 좋겠다.


☞ 원리는?
'잠금장치', '담금질', '발돋움'을 통해 기본형을 '잠그-', '담그-', '돋우-'라 기억하고 '잠가', '담가', '돋우고' 등으로 정확하게 적을 수 있도록 하자. '잠궈', '담궈', '돋구고'는 표준어가 아니라 사투리이다.

☞ 참고
'돋구다'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자.
'안경 도수를 돋구다'와 같은 예가 보인다. 일반인이라면 이 정도는 잊고 살아도 될 듯하다. 기억할 것 많은 세상에서 '돋우다'만 기억해도 훌륭하지 않겠는가

임석규 교수(국어국문학과)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