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 메시지의 출현도 엊그제 같은데 이제는 카톡,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수많은 정보가 오가고 있다. 이러한 때 지인들끼리 가상공간에서 구어체로 대화를 나누는 상황이 많아지게 된다. 앞으로 몇 주에 걸쳐 한 번 알아두면 유용하게 쓰일 몇몇 형태들을 알아보기로 한다. /편집자

 

 다음은 야구장에 가거나 야구 중계를 보면 자주 들을 수 있는 노래이다. 밑줄 부분이 맞춤법에 맞게 쓰인 것인지 알아보자.

(1) 거칠은 벌판으로 달려 가자. 젊음의 태양을 마시자. 보석보다 찬란한 숨결이 살고 있는 저 언덕 너머…

'너머'라는 말도 있고 '넘어'라는 말도 있다. 전자는 명사(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말)이고 후자는 동사(움직임을 나타내는 말)이다. 그러면 '너머'는 왜 명사일까? 명사는 기본적으로 관형어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뒤에 조사가 결합될 수 있다.
먼저 관형어와 관련된 사항을 검토해 보자. 관형어는 '먹는(eat), 작은(little), 잡을(catch), 공부할(study)'에서처럼 '-ㄴ'이나 '-ㄹ'로 끝나는 유형도 있고 '새(new)', '이(this)', '나의(my)'와 같은 유형도 있다. (1)에서의 '젊음의', '저', '언덕'은 후자 유형이고 '거칠은/거친', '찬란한', '있는'은 전자 유형이다.
아래 문장의 〓은 동사일까 명사일까.

(2) 아름다운 〓을 느낀다.

한국인이라면 〓을 명사로 판단한다. 이것이 그 사람의 언어능력이고 언어에 관한 심리이다. 이에 대해 일반인이 명쾌하게 말하기는 어려울지라도 '명사일 거야'라고 말할 수 있는 근거로는 '아름다운'의 '-ㄴ'과, 〓 뒤의 '-을'을 들 수 있다.
아래의 두 용례를 보면 보다 명료해질 수 있다.

(3) 저 너머에 있는, 저 너머로 가면

두 용례 '너머'에 모두 조사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앞말인 관형어 '저'가 '너머'를 수식하고 있다. 그러므로 '너머'는 명사가 된다. (4)에는 김동환의 시 제목이 제시되어 있다.

 (4) 산 너머 남촌에는

(4)를 '산 너머의 남촌에는/산 너머에 있는 남촌에는'이라는 뜻으로 파악하면, '너머의/너머에'에서 조사 '-의/에'가 확인되기에 '너머'는 명사임을 알 수 있다. 이를 토대로 할 때 다음에 제시된 '너머'도 모두 명사로 볼 수 있다.

(5) 가. 산 너머 산에 가자.
나. 산 너머에 있는 산에 가자.


(6)에 제시된 예는 구분될 필요가 있다.

(6) 가. 산 너머 산
나. 산 넘어 산


모두 맞는 말이다. (6가)는 '산 너머의 산'이라는 뜻이다. (6나)처럼 '넘어'가 동사로 쓰인 예를 아래에서 속담 형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일부를 가져온다.

(7) 가. 산 넘어 산이다: 고생이 갈수록 점점 더 심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산은 오를수록 높고 물은 건널수록 깊다.

나. 어깨가 귀를 넘어까지 산다: 허리가 구부러져서 어깨가 귀보다 올라갈 때까지 오래오래 산다는 뜻으로, 한 일도 별로 없이 오래 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다. 큰 산 넘어 평지 본다: 고생을 이겨 내면 즐거운 날이 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7가)에 대해서만 살펴보자. '산을 넘어가니까 또 산이 있을 정도로 힘들다'라는 말이다. '넘어'는 실제 동작을 나타내는 말이다.
'너머'와 같은 유형으로 '건너'를 들 수 있다.

(8) 가. 저 건너도 산, 저 건너에 있는 마을

   나. 이 늪을 건너도 또 늪이 보일 거야.
(8가)의 '건너'는 명사인데 그 근거로 '―도', '-에' 등의 조사를 들 수 있다. 반면 (8나)의 '건너도'는 '먹어도', '입어도'와 같이 실제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이다.

참고 1 : 다음은 필자가 어릴 때 즐겨 부르던 동요이다. 여기의 '너머'도 명사이다. '너머도'에서처럼 조사 '-도'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넘어'로 써서는 안 된다.

원리는?
'넘어' 외에 '너머'로 쓰이는 명사의 용법도 알아 두자. '너머'에 조사가 결합되면 '너머'는 명사이다. '그 너머도 산이야/그 너머는 산이야'에서처럼 조사('-도/는')가 보이면 '너머'는 명사이다.

 (9) 산 너머 산, 그 너머도 산, 찬 하늘 아래, 외로운 낮밤을 보내고 있는, 형아, 동생아, 설움을 참으며… 아, 봄이 온다네. 오라, 오라. 봄이 오는 곳으로 봄이 오는 곳으로 웃으며 오라.

저 산 너머 산, 또 그 너머에 있는 산, 그 하늘 아래. 그러면 매우 춥겠지요. 그쪽 추운 곳에서 어렵게 살아가는 두 형제의 가련한 상황이 표현되고 있다.

참고 2 : 필자도 무심코 쓰다가 보면 틀리는 경우가 있는데, '아래의'가 맞는지 '아래에'가 맞는지 알아보자. 첫 부분을 조금 수정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0) '아래의/아래에' 밑줄 부분이 맞춤법에 맞게 쓰인 것인지 알아보자.

'아래의/아래에'는 '밑줄 부분'을 수식하는 말이므로 관형어가 되어야 한다. 그래서 '-의'를 넣은 '아래의'가 옳은 표현이다. 이는 '익산의/익산에 미륵사지'와 같은 유형으로 여기에서의 '-의'는 '-에 있는'이라는 뜻이다. 관형어이다. "아래 문장에 〓은 동사인가 명사인가 부사인가"에서도 '아래 문장에'는 틀린 표현이다. '아래 문장에 있는'이라는 뜻이기 때문이다.

 


임석규 교수(국어국문학과)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