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 메시지의 출현도 엊그제 같은데 이제는 카톡,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수많은 정보가 오가고 있다. 이러한 때 지인들끼리 가상공간에서 구어체로 대화를 나누는 상황이 많아지게 된다. 앞으로 몇 주에 걸쳐 한 번 알아두면 유용하게 쓰일 몇몇 형태들을 알아보기로 한다. /편집자

 '알맞는/알맞은', '걸맞는/걸맞은', 각각에 대해 어떤 것이 맞는 표기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더러 있다. (1)에서도 어느 것이 맞는지 판단하기 쉽지 않다.

(1)가. 작지 (않는, 않은) 가방
나. 희지 (않는, 않은) 바탕

모두 후자가 정답이다. 출신지에 따라 '곱지 않는', '작지 않는', '희지 않는'이라고도 하기에 이 문제를 맞히기 위해서는 한 가지 알아야 할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동사와 형용사의 구별법이다. 동사와 형용사를 구별하는 데는 여러 기준이 있다. 가장 전형적인 방법이 바로 '-는다/ㄴ다'를 붙이는 방법이다. '-는다/ㄴ다'를 붙여 말이 되면 동사이고 말이 되지 않으면 형용사이다. 예를 들어보자.

(2)가. 먹다 : 먹는다
나. 곱다(麗) : 곱는다(×)
다. 보다 : 본다
라. 희다 : 흰다(×)


(2가), (2다)의 '먹는다', '본다'에 비해 (2나), (2라)의 '곱는다', '흰다'는 우리가 쓰지 않는 말이므로 형용사이다.
요즘 들어 보다 강력한 구별법이 대두되었다. 기본형 '보다', '희다' 중 평상시 대화에 쓰이는 말이 있다. '엄청 보다', '엄청 희다' 중 후자는 잘 쓰이는 말이다. 기본형 자체로 쓰이면 형용사, 기본형이 일상생활에서 쓰이지 않으면 동사라는 것이다. '(밥을) 먹고', ' 먹자', '먹었다', '먹는다' 등은 평상시 쓰는 말이지만 기본형인 '먹다'는 평상시 쓰지 않는 말이다. 그러니 '먹-'은 동사라는 것이다. 동사의 기본형은 기사문의 표제어에서나 쓰일 수 있는데 다음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3)가. 한국 대표 팀 16강에 진출하다.
나. 대표 팀 러시아에 입성하다.
다. 전반에 2골을 넣다.
라. 후반 총력전으로 우승하다.

또 다른 관점으로 접근할 수도 있다. (4)와 같이 동사는 명사를 꾸밀 때 '-는', '-은/ㄴ', '-을/ㄹ(관형사형 어미)'로 끝나야 하지만 형용사는 '-은/ㄴ'으로 끝나야 한다.

(4)가. 먹는 사람, 먹은 사람, 먹을 사람
나. 가는 사람, 간 사람, 갈 사람
다. *작는 사람, 작은 사람,
*작을 사람
라. *희는 사람, 흰 사람, *흴 사람

형용사인 경우, 받침이 있는 '작-'은 '작은'으로 실현되며 받침이 없는 '희-'는 '흰'으로 실현된다. '작는', '희는'은 옳지 않은 형태이다.
'작다', '희다'는 모두 형용사인바, 여기에 부정의 '않-'이 붙으면 이조차도 형용사가 된다. 이때 '않-'은 받침이 있으므로 관형사형 어미로는 '-은'이 결합된다. 그러면 (1)에 제시된 두 문제는 '작지 않은 가방', '희지 않은 바탕'이라 해야 어법에 맞을 것이다. 다음 네 문제를 풀어 보자.

 (5)가. 곱지 (않는, 않은) 시선
나. 달갑지 (않는, 않은) 논평
다. 시지 (않는, 않은) 과일
라. 조용하지 (않는, 않은) 마을

모두 후자가 옳다. '않-'의 앞말이 모두 형용사이기 때문이다. 전형적인 기준을 가져가 보자. '곱는다', '달갑는다', '신다', '조용한다'가 모두 말이 되지 않는다. (6)에 제시된 말 또한 만만치 않다.

(6)가. 빈칸에 (알맞는, 알맞은) 말은?
나. 풍채에 (걸맞는, 걸맞은) 호기를 부린다.

모두 후자가 맞는 표기이다. '알맞는다', '걸맞는다'는 성립되지 않는다. 반면, 기본형 '알맞다', '걸맞다'는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기에 형용사라 결론 내릴 수 있다. 형용사는 '-는'과 통합할 수 없다는 것을 명심하자. (7)은 '알맞-', '걸맞-'에 '않-'이 통합된 것이다.

(7)가. 빈칸에 알맞지 (않는, 않은) 말은?
나. 그의 품위에 걸맞지 (않는, 않은)  말이다.

앞의 (6)에서 두 용언을 형용사로 파악하였다. 그러니 모두 후자가 맞는 말이다. 형용사는 '-는'과 통합할 수 없다. 그러면 다음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자. 각종 시험 문제의 발문으로 많이 쓰이는 표현들이다.

(8)가. (가)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않은) 것은?
나. (가)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맞은) 것은?
다. (가)에 대한 설명에 부합하지 (않는, 않은) 것은?
라. (가)에 대한 설명에 (부합하는, 부합한) 것은?
마. (가)에 대한 설명과 일치하지 (않는, 않은) 것은?
바. (가)에 대한 설명과 (일치하는, 일치한) 것은?


위에 제시된 세 단어 '맞다', '부합하다', '일치하다'는 모두 동사이다. 그 기본형 자체로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아울러 '-는다/ㄴ다' 통합형, '맞는다', '부합한다', '일치한다'를 일상생활에서 쓴다는 점도 그 근거가 된다. 그러므로 모두 전자가 맞는 표기이다. (9)의 '적절하다', '옳다'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9)가. 빈칸에 들어갈 말로 적절하지 (않는, 않은) 것은?
나. 빈칸에 들어갈 말로 옳지 (않는, 않은) 것은?

'적절하다', '옳다'는 그 기본형 자체로 일상생활에서 사용되기에 형용사이다. '적절한다', '옳는다'도 말이 안 되니 '않는'과 통합될 수는 없다.

참고 : 동사, 형용사를 구별하는 그 밖의 다른 방법도 참고로 제시해 보자.

(10)가. 보아라(보십시오), 보자(봅시
다), 보고 있다
나. *희어라(희십시오), *희자(흽시다), *희고 있다

(10나)에 제시된 형태들은 정상적인 발화가 아니다. 동사와 달리 형용사에는 '-아라/어라', '-자' 등이 결합될 수 없다. 명령하는 형태와 권유하는 형태를 만들어 보고 판단하면 된다.

 

 

임석규 교수(국어국문학과)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