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올해부터 우리나라는 대학에 입학하려는 사람 수보다 대학입학 정원이 더 많은 기형적인 상황에 놓이게 된다. 대학은 이미 오래전부터 외부적으로 대학 구조조정이라는 뼈아픈 변화에 노출되어 왔다. 내부적으로는 동시에 소위 4차산업혁명으로 불리는 급격한 환경변화에서 대학이 추구해야 할 정체성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난한 성찰이 계속되고 있다. 새 정부는 '공영형사립대학'을 대안으로 들고 나왔지만 예산이 뒷받침되지 않아 추진력이 약화된 실정이다. 우리대학은 인류평화 실현, 정신개벽을 비전으로 하는 '공공재' 대학의 계승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안팎의 변화에 대한 대학 구성원들의 대응은 공공성을 갖춘 대학 공동체 복원에서 출발하여야 한다.
 국가주도 경제성장, 시장중심 경쟁우선 신자유주의, 심화된 개인주의 환경에서는 공공성과 공동체가 주변화 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촛불혁명에서 확인된 것처럼 정의, 지속성장, 함께 잘 사는 미래에 대한 시민들의 열망이 표출되면서 공공성과 공동체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공동체는 가족이나 친족으로부터 마을, 지역, 국가, 세계의 한 지역과 같이 다양하고 광범위한 차원을 포괄한다. 타인과 일체되어 협동적 관계를 맺고자 하는 정서적 공감을 공유하는 집단을 의미하는 동시에 조직이 추구하고자 하는 이념형적 지향점을 뜻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공동체와 다양한 집단을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 하나가 '공공성(publicness) 유무'이다. 구성원 각각이 공공성을 자신들 사이에 공존하는 규범이자 가치로 받아들이는지 여부가 공동체의 중요한 준거가 된다는 것이다. 집단 안에서 선과 악이 충돌하고, 때로는 옳음과 옳음이 경합하는 상황이 발생할 때 구성원들이 공생과 화합의 준거로써 공공성을 따를 때만이 그 조직은 공동체가 될 수 있다. 대학 공동체의 공공성은 개방, 공유, 공익, 정의의 원리로 구성된다고 볼 수 있다. 또 대학 공동체에서는 공공성의 원리가 구성원들 스스로에 의해 민주적 절차로 운영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이 공공성은 시장이나 국가 등 어떠한 힘으로 부터도 간섭받지 않는 자유로운 영역을 지켜낼 때만 실현될 수 있다.
   결국 공공성에 기반한 대학 공동체는 '지역밀착형'이든 '지방정부연계형'이든 '공영형 사립대학'의 기본적 전제조건이 될 것이다. '제생의세(濟生醫世)', '무아봉공(無我奉公)', '일원세계 건설'을 목적하고 도덕 대학을 추구하는 우리대학은 이미 설립 때부터 공공성에 기반한 대학 공동체를 지향해왔다. 문제는 실천이다. 개방, 공유, 공익과 정의를 일상에서 실천하는 노력. 구성원들이 시민정신, 주인정신을 갖고 자발적으로 공공성을 실천할 때 비로소 대학의 정체성을 이야기할 수 있고 대학은 미래로 나갈 수 있다.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