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강원도 일대에 250ha, 축구장 면적 350배 크기의 산림이 소실되는 산불이 발생했다. 이번 화재로 주택 120여 채가 불에 탔으며,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주민들에게 큰 피해를 남겼다. 
 이번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전국에서는 소방 차량 872대, 소방관 3천 251명을 포함한 총 1만여 명이 산불 진화에 투입돼 화재를 빠르게 진압했다. 큰불을 이렇게 신속히 진압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소방청 독립이 있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17년 6월 정부가 발표한 정부 조직개편안에 따라 소방본부를 안전처 산하 조직에서 '소방청'으로 분리시켰다. 이에 따라 4만 5천 명에 달하는 국가·지방직 소방관들은 소방청 체제로 편입돼 화재 진압과 구급, 구조 등 본연 임무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조직의 개편으로 업무상 효율은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소방관의 처우와 복지는 제자리걸음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역마다 차이는 있지만, 지방직 소방관은 인력과 장비 부문에서 처우가 매우 열악하다. 예컨대 장비가 고장 나거나 마모됐을 때, 지원금이 부족해 소방관의 사비로 충당하는 실정이다. 실제로 화재 진압을 위해 부순 문을 소방관이 사비로 보상을 한 사례도 있다.
 이번 강원 산불을 계기로 소방관의 처우가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지방직 소방관의 처우 개선에 대한 청와대 국민 청원은 현재 24만 명을 넘어섰다. 이렇게 소방관 처우를 보다 나은 국가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불구덩이를 마다하지 않고, 소중한 생명을 살리는 소방관들은 그동안 부족한 복지와 처우로 어깨가 무거웠을 것이다. 소방관 처우 개선에 대한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소방관 본연의 업무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마련이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강예진(문예창작학과 1년)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