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 메시지의 출현도 엊그제 같은데 이제는 카톡,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수많은 정보가 오가고 있다. 이러한 때 지인들끼리 가상공간에서 구어체로 대화를 나누는 상황이 많아지게 된다. 앞으로 몇 주에 걸쳐 한 번 알아두면 유용하게 쓰일 몇몇 형태들을 알아보기로 한다. /편집자

 
 
 
 
 '하지 말다'와 관련해 헷갈리는 표현이 있다. 제목에 있는 '가지 마라고 / 가지 말라고'를 비롯해 '가지 마 / 가지 말아 / 가지 마라' 등도 어떻게 써야 할지 헷갈린다.
 이들이 맞는지 틀린지 알아보기 위해서 우리는 '말다'가 어떤 환경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검토해 보아야 한다. 일단 '말다'는 '가지 말고', '가지 말지', '가지 마', '가지 마라' 등으로 쓰임을 알 수 있다.
 '가지 마라'와 '가지 말라'의 차이점은 간단하다. 전자는 일상 대화(구어체)에 쓰는 것이고 후자는 간접적으로 명령을 하는 경우 또는 '-고'를 붙여 인용을 하는 경우에 쓰인다. 각각의 예를 제시해 보자.
 
 (1) 가. 거기에 가지 마라.
   나. "가지 마라"라고 했다.
 (2) 가. 위험한 곳에는 가지 말라.
   나. 그녀에게 가지 말라고 했다.
 
 (1가)는 상대방에게 직접적으로 하는 말이고 (1나)는 상대방에게 한 말을 '-라고'를 붙여 특정 상황에서 인용하는 말이다. 후자는 <영수야, 내가 그녀에게 말했다. "가지 마라"라고>처럼 구체화될 수 있다.
 (1나), (2나)부터 살펴보자. (1나)는 직접 인용 표현인 반면 (1가)는 간접 인용 표현이다. 따옴표나 작은따옴표 없이 쓰는 것이 바로 직접 인용 방식이다. (2가)는 일상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방식이다. 신문 기사문에서 제목을 정할 때 더러 쓰이는 방식이다. '젊은이들이여 고개를 들라.', '젊은이들이여 이상을 가지라.'라는 표현을 들어 보았을 것이다. 이를 일상 대화 방식으로 표현하면 '고개를 들어라', '이상을 가져라'로 될 것이다. 차이가 있다면 전자는 간접 명령이고 후자는 직접 명령이다. 대화를 할 때에는 후자와 같은 표현을 쓰게 된다. 이처럼 간접 명령과 직접 명령의 구성은 다르다. (3)에 구체적으로 분석되어 있다.
 
 (3) 가. 들+(으)라, 들+어라
   나. 가지+(으)라, 가지+어라
 
 (3가)의 '들+라', (3나)의 '가지+라'에 비해 '들+어라', '가지+어라'는 '으라'가 결합된 것이 아니라 '-어라'가 결합되어 있다. 친구와 대화할 때 '먹어/먹어라'라고 말하지, '먹으라'라고 말하지는 않을 것이다. 즉 대화 시에는 '-(으)라'가 아닌 '-어라'를 활용한다는 것이다.
 이것을 '웃다', '적다', '무시하다'에 적용하면 '웃으라/웃어라', '적으라/적어라', '무시하라/무시해라'처럼 대비가 된다. 시험 문제에서 '10자 내외를 쓰라'와 같은 표현이 있는가 하면 '10자 내외로 써라'와 같은 표현도 있음을 상기하면 된다.
 
 (4) 보라 우리 눈앞에 나타나는 그의 모습
   거북선 거느리고 호령하던 그의 위풍
   일생을 오직 한길 정의에 살던 그이시
   다. … '충무공의 노래'
 
 '보라'를 직접명령으로 하면 '봐라/보아라'가 되는 것이다.
 다음에서 무엇이 맞는지 검토해 보자.
 
 (5) 하지 말란 말이야 / 하지 마란 말이야
 
 전자에는 '하지 말라'가 확인되고 후자에는 '하지 마'가 확인된다. 후자만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말이다. '말다' 관련 형태가 많이 헷갈리기 때문에 우리는 다음과 같이 '오-(來)'를 통해 그 차이를 확인해 볼 수 있다.
 
 (6) 오란 말이야 / 와란 말이야
 
 '와란 말이야'라고는 하지 않으니 전자가 맞는 표현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이런 유형은 다음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7) 가. 가만두란 말이야
       가만둬란 말이야
   나. 물을 푸란 말이야
    물을 퍼란 말이야
 
 '-란 말이야' 앞에는 어간 형태(가만두-, 푸-)가 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만둬', '퍼'는 어간 '가만두-', '푸-'에 각각 어미 '-어'가 결합되어 형성된 것이다. 어렵게 느낄 수 있겠지만 어간과 어미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주지하듯이 '먹다'는 기본형이다. '먹고', '먹으니', '먹어서'에서 변하지 않는 부분이 어간이고 변하는 부분이 어미이다. 변하지 않는 부분이 '먹-'임을 알 수 있고 이를 어간이라 확정할 수 있다.
 '가지 마라고 했다' 역시 '가지 말라고 했다'로 써야 한다. 후자에 간접인용이 확인된다. 이의 직접인용 방식은 <"가지 마라"라고 했다.>이다. 따옴표 안에서 한 말을 직접 제시하면 되는 것이다.
 
 심화 : 간접 명령 '보라'
 
 앞에서 우리는 '충무공의 노래'를 통해 간접 명령에 대해 배웠다. '보라', '잊지 말라' 등은 인쇄 지면에서 볼 수 있는 간접 명령이라 했다. 다음 '내 나라 내 겨레'에서 간접 명령의 형태를 찾아가 보자.
 
 보라 동해에 떠오르는 태양
 누구의 머리 위에 이글거리나
 피어린 항쟁의 세월 속에
 고귀한 순결함을 얻은 우리 위에 … 
 '내 나라 내 겨레'
 
 
  임석규 교수(국어국문학과)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