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우리대학만이 아니고 극히 일부 대학을 제외한 모든 대학이 현실화되어 가고 있는 학령인구 절벽에 대응하기 위하여 사투를 벌이고 있다. 2020학년도를 전후하여 20만명 정도의 입학자원이 감소한다하니 당연한 현상이라 아니할 수 없다.
  따라서 대학의 재정운용은 점점 더 힘들어 지고 이에 따라, 다른 대학과 마찬가지로 우리대학도 이를 타개하는 수단으로 교육부 등의 정부지원사업의 선정에 사활을 걸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대학이 3년 전에 수주한 프라임 사업 등과 같이 정부지원사업의 선정에는 학과구조조정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 일부 학과의 폐과 및 통폐합이 필연적으로 동반될 수밖에 없고 실제 몇 몇 학과는 폐과 및 통폐합이 진행되었다. 물론 일부 경쟁력 없는 학과의 통폐합은 정부지원사업 여부와 관계없이 대학의 미래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대학 구성원 모두의 동의를 얻지 못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추진될 수밖에 없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다만 이 경우 우리대학의 구성원 모두는 아니더라도 다수가 수긍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학과의 미래 경쟁력을 판단할 수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의 선정이 문제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우리대학은 학과의 미래경쟁력 강화와 확보 및 혹시 발생하게 될 향후의 학과구조조정에 사용할 데이터 구축 차원에서, 매년 학과평가를 시행하고 이를 반영하여 학과를 지원하고 있다.
  얼마 전 진로기획교수회의에서 나타난 최근 3년간의 학과별 취업자 수 현황자료에 의하면, 3년 전에 프라임 사업에 의하여 폐과되어 입학생은 모집하고 있지 않으나 아직도 매년 60명 내외의 졸업생이 배출되는 경영대학 모 학과의 경우가 보여주는 결과는 예사롭지 않다.
  위 학과의 경우 2018년 취업률이 73%에 육박하고 최근 3년의 취업률도 소속 대학뿐만 아니라 우리대학 모든 학과를 비교하더라도 중상위 수준에 해당하고 있다. 3년 평균 취업대상자가 평균 60명 내외이므로 이 경우 적은 데이터의 사용으로 인한 통계적 왜곡현상이라 말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프라임 사업의 경우 대학본부에서 준비하고 있는 학과평가 지표의 적용이 아니라 인문사회계열 학과의 통폐합 및 관련 정원의 이공계 전환이 이동이라는 명분하에서 진행되었던 사업이었다.
   우리 모두가 알고 있는 것처럼 취업률이 대학 및 학과의 미래경쟁력을 판단할 수 있는 유일한 지표는 당연히 아니나, 우리의 현실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중의 하나라는 사실에서 우리의 결정이 올바른 결정이었나를 다시 한 번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그 당시 결정의 잘잘못 여부가 아니라 향후에 필연적으로 있을 수밖에 없는 학과 구조조정에서는 조금 더 멀리보고 신중하게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