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 메시지의 출현도 엊그제 같은데 이제는 카톡,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수많은 정보가 오가고 있다. 이러한 때 지인들끼리 가상공간에서 구어체로 대화를 나누는 상황이 많아지게 된다. 앞으로 몇 주에 걸쳐 한 번 알아두면 유용하게 쓰일 몇몇 형태들을 알아보기로 한다. /편집자

 

 

 

  '안'과 '않'이 헷갈리는 경우가 의외로 많은 모양이다. 여러 번 살펴본 것처럼 이것도 두 발음이 같기 때문에 문제를 야기하는 것이다. 관련 규칙을 잘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그런 것도 모르나'라고 할 것인데 의외로 틀린 표기를 많이 볼 수 있다.

 (1) 가. 안 가더라도 / 않 가더라도
    나. 안 먹지 / 않 먹지
    cf. 가지 않더라도 / 먹지 않지
 
 (1가), (1나)는 모두 앞 표기가 옳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안'은 '아니'의 준말이다. '아니 가더라도', '아니 먹지'가 줄어서 '안 가더라도', '안 먹지'로 되는 것이다. 반면 '가지 않더라도', '먹지 않지'는 '않-'으로 표기되어 있다. '않'은 '아니하'가 줄어진 말이므로 'ㅎ'이 드러난 것이다. 각각은 '가지 아니하더라도', '먹지 아니하지'가 줄어서 된 말이다. '아니하더라도'에서 '아니하'를 '않'으로 대치해 보면 그 대응을 쉽게 알 수 있다. '아니하'에서의 '아, ㄴ, ㅎ'이 모두 '않-'에 드러나 있다.
 이상을 복잡하다고 여기는 독자를 위해 일단 (2)와 같이 쉽게 접근해 보자.
 
 (2) '안 가더라도'와 같이 '가-' 앞에서는
    '안', '가지 않더라도'와 같이 '가-'
     뒤에서는 '않-'이다.
 
 그러면 다음이 문제될 수 있다.
 
 (3) 가. 용납 안 하고
      나. 용서 않 하고
      cf. 용납 않고, 용서 않고
 
 '용납', '용서' 뒤에 부정어가 놓였으니 '않-'으로 표기해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이때는 '용납'과 '용서'를 제외한 '안 하고'를 띄어쓰기 단위로 생각하면 된다. 그러면 띄어쓰기 단위에서 앞부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않-'으로 적을 수 없는 것이다. 그렇게 본다면 '용납 않고', '용서 않고'는 '용납하지 아니하고', '용서하지 아니하고'의 준말이니 문제가 없다. '용납하지 않고', '용서하지 않고'에서 '하지' 전체가 생략되어 '용납 않고', '용서 않고'와 같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신경을 써야 하는 부분이 또 있다.

 (4) 가. (안, 않) 간다. (안,  않) 할래요.
   나. 가지 (안는다, 않는다).
    하지 (안을래요, 않을래요).
 
 (4가)는 부정어가 앞에 놓여 있기 때문에 당연히 '안'으로 적어야 하고 (4나)는 뒤에 놓여 있기 때문에 당연히 '않-'으로 적어야 한다. 그런데 본말을 생각해 보면 (4나)에서는 약간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않는다', '않을래요'는 각각 '아니하는다', '아니하을래요'로 환원될 수 있다. 문제는 '아니하는다', '아니하을래요'가 국어에 존재하지 않는 형태라는 것이다. 사실 (4나)의 본말은 '가지 아니한다', '가지 아니할래요'인 것이다. '아니한다'에서 '아니하'를 '않'으로 바꾸면 '않ㄴ다'가 될 것이며 '아니할래요'에서 '아니하'를 '않'으로 바꾸면 '않ㄹ래요'가 될 것이다. 그런데 (4나)에서 '않ㄴ다'는 '않는다'로 교체되어 있고 '않ㄹ래요'는 '않을래요'로 교체되어 있다. 이것이 바로 한국어를 어렵다고 느끼게 하는 한 요인인 것이다. 의미 또는 기능은 같은데 형태가 다르기 때문이다. '먹는다'와 '간다'를 대비해 보면 그 차이를 알 수 있다. 같은 현재형인데 하나는 '-는다', 하나는 '-ㄴ다'로 나타난다. '않-' 뒤에 '-는다'를 붙여야 할까, '-ㄴ다'를 붙여야 할까를 고민해 보라. 마찬가지로 '아니하-' 뒤에는 '-는다'를 붙여야 할까 '-ㄴ다'를 붙여야 할까 고민해 보라. 다음과 관련지어 생각해 보자.
 
 (5) 가. 먹는다, 잡는다, 받는다,
         뚫는다, 핥는다, 앉는다
    나. 간다, 본다, 한다, 산다
    다. 분다, 운다, 베푼다, 떠민다
 
 (5가)에는 '-는다'가 (5나), (5다)에는 '-ㄴ다'가 확인된다. 그렇게 결합되는 이유를 알아보자. (5가)는 어간 '먹-', '잡-' 등이 자음으로 끝나 있다. (5나)는 어간 '가-', '보-' 등이 모음으로 끝나 있다. 반면 (5다)는 어간 '불-', '울-' 등이 'ㄹ'로 끝나 있다. 국어를 포함하여 여러 언어에서 'ㄹ'이 모음처럼 기능하는 경우가 많다(브라질 축구인 Ronaldo에서 철자 L은 모음 '우'에 대응된다. 그래서 '호날두'가 아니라 '호나우두'가 되는 것이다). 모음성이라는 공통점에 기반하여 (5나), (5다)가 묶일 수 있다. '않는다'에서는 '않'이 자음으로 끝나 있기 때문에 '않' 뒤에는 '-는'이 결합되어야 올바른 형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을래요/ㄹ래요'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ㄹ' 이외의 자음으로 끝난 어간 뒤에서는 '-을래요'가 확인되는 것이다.
 
 (6) 가. 먹을래요, 잡을래요
    나. 볼래요, 할래요
    다. 불래요, 울래요
 
 (6가)의 '먹을래요', '잡을래요'에서와 같이 '않을래요'는 '않'이 자음으로 끝나 있기 때문에 '않' 뒤에 '-을래요'가 결합되어야 한다. (6나)의 '볼래요', '할래요', (6다)의 '불래요', '울래요'에는 '-ㄹ래요'가 결합된 것이다. ('보+ㄹ래요', '하+ㄹ래요', '불+ㄹ래요', '울+ㄹ래요')
 이상에서 우리는 '안'과 '않'에 대해 준말과 본말의 관점에서 접근해 보았다. 이것이 어렵다면 띄어쓰기 단위에서 앞부분에 위치하면 '안', 뒷부분에 위치하면 '않-'이라 생각하면 된다.
 (7)은 Twice의 'Cheer up'의 일부분이다. 밑줄 친 '안'이 제대로 표기되었는지 생각해 보자.
 
 (7) … 바로 바로 대답하는 것도 매력 없어.
  메시지만 읽고 확인 않 하는 건 기본.
  어어어 너무 심했나 boy,
  이러다가 지칠까봐 걱정되긴 하고,
  어어어 않 그러면 내가 더 빠질 것만 같어
  빠질 것만 같어 …
 
 참고 : '안'은 '과장님이 안돼 보여'와 같은 예만을 제외하고는 항상 띄어 쓴다. 반면, '못'과 '하다'가 결합될 때에는 붙이기도 하고 띄기도 한다. '숙제를 못 했다'와 '숙제를 못했다'는 의미 차이가 있다. 전자는 숙제를 사정상 이행하지 못한 경우이다. 후자는 숙제를 하기는 했는데 점수로 따졌을 때 100점 만점에 얼마 되지 않는 경우를 일컫는 것이다.
 
  임석규 교수(국어국문학과)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