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 메시지의 출현도 엊그제 같은데 이제는 카톡,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수많은 정보가 오가고 있다. 이러한 때 지인들끼리 가상공간에서 구어체로 대화를 나누는 상황이 많아지게 된다. 앞으로 몇 주에 걸쳐 한 번 알아두면 유용하게 쓰일 몇몇 형태들을 알아보기로 한다.

/편집자

 
 'ㄹ' 뒤에서 'ㄷ', 'ㅅ', 'ㅈ'은 된소리[경음]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일자', '글자'가 그러하다. 그러면 '날짜'와 '글씨'는 왜 '날자', '글시'로 적으면 안 되는가?
 한 단어 안에서 받침 'ㄹ' 다음에 'ㄱ', 'ㄷ', 'ㅂ', 'ㅅ', 'ㅈ'와 같은 평음을 다음 글자의 첫 자음으로 쓰는 경우가 있을까?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ㄹ' 뒤 'ㄱ', 'ㅂ'은 그 용례가 쉬 확인된다.
 
 (1) 가. 살구, 왈가닥, 갈비, 굴비
    나. 달+고→달고, 불+게끔→불게끔
    다. 발견(發見), 멸균(滅菌),
         달변(達辯), 절벽(絶壁)
 
 (1)에 제시된 '살구', '왈가닥', '달고', '불게끔', '발견', '달변' 등은 웬만하면 글자와 발음이 일치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문제는 아래와 같은 경우이다.
 
 (2) 가. 발단, 절정, 발산, 제1과 제1장
      나. 갈지라도, 갈게, 갈걸
 
 우리는 '발단', '절정', '발산', '제1과 제1장'이라 적고, '발딴', '절쩡', '발싼', '제일과 제일짱'이라 읽어야 한다. 한자어인 경우 'ㄹ' 뒤에서 'ㄷ', 'ㅅ', 'ㅈ'은 거의 모든 단어에서 경음화가 일어난다. 또 '갈지라도', '갈게', '갈걸'로 적고 '갈찌라도', '갈께', '갈껄'로 읽어야 한다.
 문제는 다음과 같은 경우도 있다는 것이다. (2가), (2나)와는 달리 경음으로 쓰고 경음으로 발음하는 경우이다. 
 
 (3) 가. 날짜, 말짱, 껄떡, 벌떡,
      팔딱, 들썩, 벌써, 훨씬
    나. 할까, 할쏘냐, (어이) 할꼬
 
 (3가)와 (3나)에 제시된 예는 고유어이다. 고유어인 경우 'ㄹ' 뒤 전설자음은 대부분 경음(ㄸ, ㅆ, ㅉ)으로 발음된다. '날자', '말장'이라고 쓰고 '날짜', '말짱'이라고 읽는 것은 적어도 남한에서는 용납되기 어렵다('날짜'를 북한에서는 '날자'로 쓴다).
 혹 (2가)를 '발딴', '절쩡', '발싼'으로 쓰는 것은 어떤가? 한자로 쓸 수 있는 단어이기에 그것은 불가능하다. 괄호에 한자를 병기하는 경우 한자의 음과 한글 표기가 일치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면 고유어에서 경음으로 표기하는 (3)을 기준으로 (2나)를 경음으로 쓸 수는 없는 것인가?
 이에 우리는 'ㄹ' 뒤에 평음 'ㄷ', 'ㅅ', 'ㅈ'이 이어지는 예를 찾아보려 한다. 즉 'ㄹ-ㄷ' 연쇄, 'ㄹ-ㅅ' 연쇄, 'ㄹ-ㅈ' 연쇄를 찾아보려 하는 것이다. ≪표준국어대사전≫ 검색 결과 흔치 않은 표기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날새기', '열당과'와 같은 동식물명에서 'ㄹ' 뒤 '평음' 표기가 몇몇 확인될 뿐이다. 문제는 '절따말'과 같은 표기가 보이는가 하면 '갈신거리다'는 표기도 보인다는 것이다. 그런데 '갈신거리다'는 그 발음 정보에 [갈씬]과 같이 경음이 보인다. 이것이 바로 '갈씬거리다'로 적어야 한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사정이 이러하므로 '할수록', '할지라도' 등이 거의 유일한 부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실 유일한 부류라는 것은 다른 방식으로 생각할 여지도 있다는 것이다. 어떻든 이 부류는 '-ㄹ수록', '-ㄹ지라도'와 같이 더 이상 분석될 수 없는 하나의 형태이다. 앞서 살펴본 '알+고'에서 'ㄹ고'는 붙어서 다니는 하나의 구조체가 아니다. 원래는 어간과 어미로 구분되던 것이다. 그 'ㄹ'은 사실 '알다'에서의 어간 '알-'의 종성이었다. 위에서 '할수록', '할지라도'('할걸', '할게') 등이 평음으로 적고 경음으로 읽게 되는 유일한 부류라고 했다. 혹 '-ㄹ쑤록', '-ㄹ찌라도', '-ㄹ껄', '-ㄹ께'로 쓰면 어떠한가? 그러면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한다'라는 대원칙에 어긋나지 않게 된다. '-ㄹ지라도'로 쓰고 '-ㄹ찌라도'로 읽으라고 하면 이는 어법에 맞게 적은 것일 텐데 '-ㄹ지라도'를 어법에 맞게 적은 것으로 이해하기는 어렵다. 여기에서 한글 맞춤법을 수정할 근거가 생긴다. '-ㄹ수록', '-ㄹ지라도'를 '-ㄹ쑤록', '-ㄹ찌라도'로 써서 통일을 기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날짜', '일자'의 차이를 알아보자. 전자는 고유어라서 경음을 반영해야 하고 후자는 한자어라서 한자의 음에 맞게, '일자(日字, 日子)'로 적으면 된다. '글씨'도 고유어이니 경음으로 적어야 한다. 반면 '글자'의 '자'는 한자로 쓸 수가 있다. 바로 '글자 자(字)'이다.
 
 참고 1
 제53항 다음과 같은 어미는 예사소리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ㄱ  ㄴ
 -(으)ㄹ거나-(으)ㄹ꺼나
 -(으)ㄹ걸-(으)ㄹ껄
 -(으)ㄹ게-(으)ㄹ께
 -(으)ㄹ세-(으)ㄹ쎄
 -(으)ㄹ세라-(으)ㄹ쎄라
 -(으)ㄹ수록-(으)ㄹ쑤록
 -(으)ㄹ시-(으)ㄹ씨
 -(으)ㄹ지-(으)ㄹ찌
 -(으)ㄹ지니라-(으)ㄹ찌니라
 -(으)ㄹ지라도-(으)ㄹ찌라도
 -(으)ㄹ지어다-(으)ㄹ찌어다
 -(으)ㄹ지언정-(으)ㄹ찌언정
 -(으)ㄹ진대-(으)ㄹ찐대
 -(으)ㄹ진저-(으)ㄹ찐저
 -올시다-올씨다
 
 다만, 의문을 나타내는 다음 어미들은 된소리로 적는다.
 
 -(으)ㄹ까?
 -(으)ㄹ꼬?
 -(스)ㅂ니까?
 -(으)리까?
 -(으)ㄹ쏘냐?
 
 ☞ 의문을 나타내는 어미란 물음표를 붙일 수 있는 어미를 말한다.
 
 참고 2
 '한걸, 할걸, 하는걸'을 고려해 '할걸'은 그대로 두고 '할게'는 '할께'로 수정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현대국어만을 대상으로 한다면 '-ㄹ게'를 통해 의존명사 '거'와의 관련성을 확보하기란 쉽지 않다.

  임석규 교수(국어국문학과)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