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광주민주화운동은 한국 민주주의의 자랑스러운 뿌리다. 학생중심의 4·19 혁명을 계승한 광주민주화운동은 이후 시민운동으로 확대됨으로써 6월 시민 항쟁의 전초가 되었다. 한마디로  5·18 광주민주화운동이 없었다면 6월 시민항쟁도 없었을 것이며, 한국에서 민주주의의 실현은 한참 지연되었을 것이다. 5·18 민주화운동 4반세기를 맞아 광주에서 다양한 기념.추모행사가 진행되었다. 지난 18일 국립 5·18묘지에서 열린 제25주년 기념식에는 노무현 대통령을 비롯하여 여·야 정당 대표 등 정관계 인사들이 다수 참석한 가운데 성대히 치뤄졌다. 사실 25주년이 갖는 의미는 지난 역사의 4반세기를 되돌아보고 잘못된 역사는 바르게 정리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5·18에 대한 전 과정의 진실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고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광주민주화운동은 정확한 사실이 밝혀지지 않은 채, 단지 보상차원에서 정치적으로 마무리 된 점을 부인할 수 없다. 더욱 놀라운 것은 5·18 민주항쟁이 민주화운동으로 공식 인정된 이후에도 한국정부는 유혈 무력진압의 책임자들이 공적으로 받은 훈장을 박탈하지 못하고 있다. 물론 훈장을 스스로 반납한 사람도 없다. 정부는 훈장을 박탈하지 못하는 이유로 5·18 민주화운동 특별법에 ‘오로지 광주민주화운동을 진압한 것이 공로로 인정돼 받은 상훈’만 치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다른 공적사항이 섞여 있으며, 주동자인 전두환·노태우씨를 놔두고 하급자들의 서훈부터 취소하기도 어렵다는 점 등을 내세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진정한 화해는 불가능하다. 실종자 주검 찾기, 최초 발포책임자 규명, 미국의 개입문제 등등 앞으로 우리가 진상을 규명해야 할 공식적인 과제는 많다. 군 과거사 진상규명 대상에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포함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광주민주화운동 이후 한국사회에서 민주주의, 인권, 정의, 평화 등은 시간이 갈수록 중요한 가치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이러한 가치들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사회는 오히려 대립과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더욱 우려되는 점은 이러한 갈등이 대화와 타협보다 저항을 앞세운다는데 있다. 5월 정신은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으나 그 모든 주장의 핵심은 상대를 인정하는 데 있다. 노무현 대통령이 5·18 광주민주화운동 25주년 기념사에서 “이제 상대를 존중하면서 대화와 타협으로 문제를 풀어나가고 규칙에 따라 정정당당하게 경쟁하고, 결과에는 반드시 승복하는 성숙한 민주주의 문화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역설한 배경도 여기에 있다. 지금부터라도 저항보다 대화와 타협을 통해 생산적인 민주주의가 이 땅에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모든 국민이 노력해야 해야 한다.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