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 순  (생활과학부 교수)

 

어머니와 관계 좋은 남학생
심리적 독립 이뤄지지 않아


반면 아버지와 관계 좋은
여학생 기능적 독립 이뤄져



 부모-청소년 자녀의 갈등은 정상적인 표현이며 필연적인 자극이다. 청소년 자녀와 부모의 관계에 대해서 오랫동안 전해지고 있는 의견은 조화와 애착보다는 갈등과 분리가 청소년기 정상적인 가족생활의 특징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청소년들의 친근한 가족유대가 남아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배제되고 있었으며(Steinberg, 1990) 청소년의 가족과의 조화 또는 갈등이 그들의 심리적 독립 수준에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청년기는 독립에 대한 의지와 의존의 욕구로 인해 부모-자녀관계가 갈등의 과정을 거쳐 나름대로 심리적 독립을 형성하고 부모-자녀의 의존관계가 부모가 자녀에게 의존하는 관계로 전이되는 과정이다. 가정의 환경, 개인적 성향, 부모-자녀관계 유지의 형태 등은 청년기 심리적 독립과 관련이 될 것이며 특히 부모와의 갈등관계와 만족한 관계는 청년기 심리적 독립수준과 관련될 것이다. 부모와 청년기 자녀 관계가 성별에 따라 갈등과 애착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부모와의 갈등이 더 많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애착이 더 강한 경향이 있다(조윤주, 2000).

 이러한 결과는 부모와의 갈등관계와 만족한 관계는 청년기 대학생 자녀의 부모와 심리적 독립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특히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대학생의 부모와의 관계에서 심리적 독립의 경향은 어떠하며, 부모와 심리적 독립은 남녀 성별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부모와의 심리적 독립은 부모와 갈등관계와 만족한 관계와 어떠한 관계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리대학 학생 200명과 군산대학 학생 10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고 264부(88%) 수거한 후 분석한 결과 남녀 대학생의 부모에 대한 갈등관계만족도와 심리적 독립 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해 봤으며 그 결과로써 나타나는 특징적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학생의 부모에 대한 관계와 심리적 독립의 경향은 정서적 독립이 비교적 높은 편이며 어머니로부터 정서적 독립이 높고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어머니로부터 정서적 독립이 높은 편이다. 전체 대학생은 아버지보다 어머니와 기능적, 태도적, 정서적 독립이 높은 편이며 아버지와는 갈등적 독립이 높은 편이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어머니로부터 기능적, 태도적, 정서적 독립이 높은 편이다. 이러한 결과는 Lepsley 등(1989)의 연구에서 어머니로부터의 기능적, 정서적 독립이 대학적응을 보다 강하게 예측해 준다는 사실에 비춰볼 때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대학적응이 순조로울 것이라는 것을 예측하게 한다.

 또한 전체적으로 어머니에 대한 기능적, 태도적, 정서적 독립이 높으나 아버지와는 갈등적인 독립이 높다는 것은 가정에서의 아버지의 역할이 어머니의 역할과 다른 영역임을 암시해 준다.

2-1. 성별에 따른 심리적 독립은 아버지 어머니에 대한 심리적 독립전체에 대한 결과는 남녀 대학생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독립의 하위영역의 분석 결과는 어머니에 대한 독립의 하위 영역들은 남녀 대학생 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으나 아버지와 관계에서 기능적 독립과 정서적 독립이 남녀 대학생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남학생은 아버지와 기능적 독립이 여학생은 아버지와 정서적 독립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국대학생은 아버지로부터 심리적 독립은 성차에 따라 유의미함이 없지만 어머니로부터 심리적 독립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기능적, 정서적, 갈등적, 태도적 측면에서 더 독립적이었다는 한미선(1987)의 연구와 상반되는 결과였다.   

2-2. 연령에 따른 남녀 대학생의 부모관계(만족, 갈등)는 남학생의 어머니와 관계갈등에서 연령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났으며 연령이 18~19세인 집단이 관계갈등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독립은 어머니에 대해 남학생은 갈등적 독립에서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으며 18~19세인 집단의 갈등적 독립이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에 대해 여학생은 기능적 독립에서 연령에 따른 집단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18~19세인 집단의 평균값이 높았다. 아버지와의 관계와 심리적 독립은 연령에 따른 집단간의 차이가 없었다.

3-1. 남학생과 여학생의 각각 어머니 아버지에 대한 심리적 독립의 정도를 관계 만족과 관계갈등의 측면에서 상관의 정도를 보았을 때, 각기 이성 부모에 대하여 상관의 정도에 의미 있는 것이 다수 나왔다. 남학생의 어머니와 관계가 만족적인 학생들은 정서적 독립이 유의미하게 이뤄지고 있는 반면, 갈등적인 학생들은 갈등적 독립이 유의미하였다. 또한 어머니와 관계가 갈등적인 남학생의 경우 어머니에 대한 갈등적인 독립이 유의미하였다. 

 즉 어머니와 갈등하고 있는 남학생은 어머니의 불신임, 원망, 죄의식, 분노 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또한 어머니와 갈등하고 있는 남학생의 경우 아버지에게도 기능적, 정서적, 갈등적으로 독립될 수 있다.

 아버지와 관계가 만족적인 남학생은 아버지에 대한 심리적 독립에서 기능적, 태도적, 정서적 독립이 유의미하게 독립적이나 갈등적인 독립과는 유의미하지 않다. 다만 아버지와 관계가 갈등적인 남학생의 경우 아버지와의 갈등적인 독립이 유의미하다.

3-2. 여학생의 어머니에 대한 관계 만족은 어머니에 대한 기능적, 태도적, 정서적 독립에 유의미하고 갈등적 독립에 역으로 유의미하다. 어머니와 관계가 갈등적인 여학생의 경우 태도적, 정서적 독립에 역으로 유의미하며, 갈등적 독립에 유의미하다. 여자 대학생의 아버지에 대한 관계 만족은 기능적 태도적, 정서적 영역에서 아버지에 대하여 심리적으로 독립적이며, 갈등적으로 역으로 유의미하다.

 여학생과 남학생의 이성부모에 대한 독립의 정도를 관계 만족과 관계 갈등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을 때, 어머니에 대하여 관계가 만족적인 남학생은 기능적으로 어머니에 대한 심리적 독립이 이뤄지지 않았다. 그러나 아버지에 대하여 관계가 만족적인 여학생은 기능적으로 독립이 이뤄진다. 이는 분석심리학에서 긍정적 모성콤플렉스를 지닌 남성의 경우와 긍정적 부성컴플렉스를 지닌 여성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태도적, 정서적 독립의 경우 관계가 만족적일 때 심리적 독립이 잘 이뤄지는 것으로 보이며, 관계가 만족적일 때 갈등적 독립이 역으로 유의미함은 동일하였다. 즉 어머니에게 만족적인 아들보다는 갈등적인 아들이 기능적인 심리적 독립이 잘 이뤄질 수 있다. 이는 구조적 가족치료의 삼각관계의 형성과정과 정신분석이론에서 어머니에게 애착된 아들들의 특성을 설명해 줄 수 있는 부분이 될 것이다.

 여학생의 어머니에 대한 관계가 갈등적인 경우 어머니에 대하여 태도적 정서적 독립에서 역으로 유의미하며, 갈등적인 독립에서 유의미하다. 그러나 어머니와 갈등하고 있는 여학생은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어머니와 만족하고 있는 여학생에 비해 기능적 독립이 취약하다.
결론적으로 부모와 관계(만족, 갈등)는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의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동성의 부모와의 관계보다는 이성의 부모와의 관계가 만족적인가 갈등적인가가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에 영향을 미친다. 여기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심리적 독립의 양상은 영역별로 부모로부터 서로 다른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결과표 등이 생략된, 전체 논문에 대한 요약분입니다.            /편집자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