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부터 이틀간 새롭게 출시된 갤럭시S3의 가격이 17만원에 판매돼 판매 대란이 일어났다. 출고 가격이 100만원에 가까운 삼성전자의 신제품 모델인 갤럭시S3가 이틀 동안 상상할 수 없는 가격에 유통된 것이다. 이전 갤럭시S나 S2에서는 한번도 없었던 일이라 더 큰 화제가 됐다.
 이번 사건이 일어나게 된 배경은 곧 출시될 아이폰5 때문에 재빨리 번호이동 대상자를 유치하기 위한 마케팅이었다는 설도 있고, 기존 2G나 3G 소비자를 LTE 서비스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었다는 설도 있다.
 스마트폰 모델은 가격변동이 가장 적었기 때문에 구매 시기와 상관없이 나오자마자 제 가격에 구매한 많은 소비자 입장에서는 분통이 터질 수밖에 없는 일이다.
심지어 특정 사이트가 다운될 정도로 많은 번호이동이 이루어지던 그 시간에도, 다른 대리점에서는 제 가격으로 구매한 소비자들이 상당했다는 것이다. 이동통신사(이하 이통사)의 과도한 보조금 경쟁 때문에 소비자만 피해를 보고 있다.
 국내 이동통신 3사가 1명의 가입자라도 더 유치하기 위해 막대한 보조금을 쏟아 부으며 과열 경쟁을 벌이자 방송통신위원회가 시장조사에 나서며 가격이 안정됐다.
 그러나 비싼 가격에 할부금을 지급하고 같은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 입장에서는 억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통사들 역시 보조금에 대한 명확한 액수와 규모를 밝히지 않아 통신시장의 불투명성은 날로 양상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 '판매 대란'에서 이통사들은 치열한 경쟁 속에 보조금을 대당 70만원∼90만원까지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판매점 입장에서는 17만원에 제품을 팔아도 이윤이 남은 것이다.
 이처럼 보조금은 시장 상황에 따라 지나치게 큰 폭으로 변화하는 주식과도 같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복잡한 가격구조가 소비자 혼란을 가중하는 현행 휴대폰시장의 가격구조는 지나치게 복잡하고, 불투명한게 사실이다. 이통사들은 수시로 변하는 보조금 지급 정책을 소비자들에게 공개하지 않고 있으며 판매점들 역시 가격을 천차만별로 조정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가 이동통신 3사에 경고하면서 지원금은 줄었지만, 솜방망이식 처벌이라는 비판의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한편, 올 1월 도입된 '휴대폰 가격 표시제'는 시행 9개월째 접어 들고 있으나 이통사들의 고무줄 정책 때문에 유명무실해지고 있다. 널뛰는 보조금과 판매 가격이 연일 달라지는 바람에 일선 판매점에서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휴대폰 시장의 문제점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결국 소비자들만 피해를 보게 될 것이며, 휴대폰 가격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 다시는 회복하기 어렵게 될 것이다. 보조금에 대한 경고로만 끝날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보조금 규제'에 따른 문제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