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9월 27일에 발생한 구미시 불산 유출사고는 크나큰 재앙이었다. 경상북도 구미시에 위치한 화학제품 생산업체 '휴브글로벌'에서 불산이 유출돼 근로자 5명이 사망했으며 공장 일대의 주민 1954명이 병원 치료를 받고 53억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것이다. 당시 외신에서는 기업과 정부의 관리 소홀, 안일한 대처를 사건의 원인으로 지적했다.
 기업에서는 안전장비를 착용하지 않는 근로자에 대한 규제와 감독이 일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사건 발생 직후 곧바로 신고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해결하려다 피해가 더 확산됐다. 정부에서는 해당업체가 화학물질 관련 산업체였음에도 불구하고 단 한 번의 현장방문조차 없었다고 한다.
 그렇게 시민들과 언론이 정부와 기업을 질타했으나 변한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그 결과 구미시 사건이 있고나서 겨우 3개월이 흐른 올해 1월 12일, 경북 상주의 웅진폴리실리콘 공장에서 대량의 염산이 누출됐다. 그리고 이로부터 보름만인 1월 27일 삼성전자 경기 화성사업장 반도체 생산라인에서 불산이 새어나가 현장에 있던 근로자 한 명이 숨지고 네 명이 치료를 받았다. 또 지난 5일 안산시 단원구에 있는 전자제품 제조공장에서 염산 100리터가 흘러넘치는 사고가 발생하는 등 최근 한 달에 한 번 꼴로 화학물질 유출사고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계속해서 화학물질 유출사고가 발생하자 정부에서는 뒤늦게 대책을 세운다며 여러 방안을 내놓고 있다. 현재 정부에서는 1톤 이상의 화학물질을 제조, 수입할 때 2년 주기로 용도와 제조, 수입량 등을 보고하도록 규정하는 '화평법'(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과 한 사업장에서 화학물질 유출사고가 일정기간동안 세 번 발생하면 해당업체의 영업을 취소시키는 '삼진아웃제' 도입을 검토 중에 있다.
 화학물질 유출사고는 그 피해가 심각한 만큼 체계화된 규제와 감독이 필수적이다. 다른 산업재해와는 다르게 피해가 광범위하고 회복에 오랜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사후관리보다 예방에 힘써야한다.
 끊이지 않고 발생하는 화학물질 유출사고에 대해 전문가들은 화학 관련 산업이 밀집해 있는 울산을 위험지역으로 보고 있다. 이에 대해 울산시에서는 소방방재청과 함께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대응 훈련을 실시하고 있지만 안심하기에는 이르다. 아직까지 화학물질 유출사고를 예방할만한 제도가 확립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기업은 사고가 안 터지면 좋고 터지면 그만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 작업자들의 안전장비 착용을 철저하게 감독해야 한다. 또한 사고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한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 불산 대체제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다.
 정부에서도 기존의 안일한 제도를 체계화시키고 기업체가 안전에 초점을 맞출 수 있게 유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마련해야한다.
 연이은 화학물질 누출사고로 정부와 관련산업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는 무너졌다. 최근 변화의 조짐이 보이는 만큼 다시는 같은 사고가 발생하지 않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