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 동안 일부 대학에 새로운 언론매체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들은 바로 대학 자치언론이다. 국민대 '국민저널', 중앙대 '잠망경', 성신여대 '성신 퍼블리카'가 대표적이다. 자치언론은 학보와 달리 학교로부터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받지 않고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발행하는 신문을 말한다. 자치 언론은 1988년 서울대 교지 '관악'을 그 시초로 보고 있다. 언론의 자유를 보장받기 원하는 학생들이 이를 만들기 시작했다.
 모범적 운영 사례인 '연세 通'은 학내 이슈를 중심으로 사회, 문화, 기고 등 다양한 분야의 기사를 다룬다. 운영비는 기업에 광고를 요청해 광고비로 충당하며 대부분은 인쇄비로 사용된다. 그러나 자치언론은 기업으로부터 광고를 얻어내지 못해 기자들이 직접 제작비용을 충당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이들은 학교로부터 재정지원을 받지 않기 때문에 학보에 비해 상대적으로 편집권이 자유롭다. 학생의 입장에서 자유롭게 말할 수 있으며 기존 언론에서 불가능했던 주제를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주목받지 못하는 소수의 의견을 대중에게 알려 공감대를 형성시키기도 한다.
 그런데 대다수의 학생들이 학내언론에 무관심할뿐더러 자치언론을 그저 '운동권 신문'으로 인식하고 외면하는 경우가 많아, 이들 언론은 대중성을 얻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편집권이 자유로운 자치언론의 특성상 새로운 시각으로 학내 문제를 전달할 수 있다. 반면에 대학 내에서 자치언론 소속 기자들은 취재에 어려움을 겪거나 규제를 받기도 한다. 규제를 피하기 위해 일부 자치언론은 발행인이나 편집국장, 기자 등이 예명을 쓰거나 밝히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이겨내지 못한 일부 자치언론은 얼마 못가 사라지기도 한다.
 대부분의 학보는 객관성을 바탕으로 학내 소식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기사를 다룬다. 그러나 재단이나 학교에 관련된 비판기사를 보도하는 데 있어서는 일부 제한적이기 마련이다. 반면에 자치언론은 해당 학생들이 주체가 되며 자유롭지만 구성원의 성향에 따라 편향된 시각의 보도를 할 가능성이 있다.
 일부 대학언론에서 탄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지난달 14일 성균관대 '성대신문'은 주간교수의 결호선언으로 발행되지 못했다. 대학신문의 편집권을 둘러싼 갈등은 이번뿐만이 아니다. 지난 2011년 건국대 '건대신문'은 학교 측과의 편집권 갈등으로 편집장이 해임됨과 동시에 신문 발행이 중단되기도 했다.
 언론의 자유가 보장됐을 때 대학언론은 학생들의 눈과 귀를 대신해줄 수 있다. 대학신문을 만드는 주체인 학생 기자들에게 자유라는 권리가 보장돼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자치언론이 활성화된다면 다양한 신문을 비교해 구독하듯이 학보와의 경쟁이 가능해진다. 이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관점의 정보를 제공해준다. 그러나 편집권 침해로 인해 자치언론이 만들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대학은 대학언론에 대한 탄압을 중단하고 재정적 지원이 뒷받침하는 것과 동시에 독립성을 보장해야 한다.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