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에는 노인이 유독 많다. 원래 서민층이 많이 사는 동네이기도 하지만 근래에 홀로 사시는 노인들의 수가 눈에 띄게 늘었다. 때문에 매일 아침이면 분리수거를 위해 내다놓은 신문을 줍거나 공병을 수거하는 것으로 하루 끼니를 연명하는 분들도 심심치 않게 찾아 볼 수 있다. 특히 겨울이 되면서 이들은 각종 질병, 경제적 궁핍, 정신적 고립감 등 여러 가지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

 이처럼 우리사회는 효(孝)를 중시하던 전통적인 사고 방식에서 개인이 중심이 되는 핵가족화 사회에서 살고 있다. 그러나 급속도로 변하는 현대의 특징상 상대적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지 못 하는 노인들은 사회의 낙오자로 전락할 수 밖에 없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 65세 이상이 전체 인구의 7%를 차지하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다. 이같은 속도를 볼 때 2026년에는 20%를 웃도는 초고령화 사회에 들어 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한다 (서울신문 2005년 11월 11일 보도).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 상황이 심각함에도 노인보호를 위한 복지 부문에 있어서는 대책이 허술하다. 우리의 노인보호는 시설보호가 중심이다. 또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나름의 노인보호 대책으로 실버타운이나 노인 전용 요양소를 운영하고 있지만 비용이 심해 일반 서민들에게는 그야말로 그림의 떡일 뿐이다.

 노인들의 경제 자립도 역시 정부의 대책이 미미하다. 300인 이상 사업장에서는 노인인력을 3%이상 채용토록 하고 있지만, 권고사항이라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또 사회적 인식이 변하지 않는 한, 단순 노무직에 국한된 고령자 취업대책의 실효성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많은 노인관련 전문가들이 입을 모으고 있다.

 이제 더 이상 노인문제는 타인의 문제나 외국의 문제가 아니다. 정부는 심화되고 있는 고령화 사회에서 건강하지 않은 노인에게는 사회가 도우미 역할을 하고, 건강한 노인에게는 일자리를 만들어 주는 것이 진정한 노인문제 해결 방안일 것이다.

고 서 영 (예술학부 4년)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