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 메시지의 출현도 엊그제 같은데 이제는 카톡, 페이스톡,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수많은 정보가 오가고 있다. 이러한 때 지인들끼리 가상공간에서 구어체로 대화를 나누는 상황이 많아지게 된다. 몇 주에 걸쳐, 한 번 알아두면 유용하게 쓰일 몇몇 형태들을 알아보기로 한다. /편집자
 
 학생들이 선생님에게 톡이나 메일을 보낼 때가 있다. 그런데 그 끝 부분에 "그럼 다음 주에 뵈요"라고 적는 경우가 많다. 수년 전 모방송국 9시 뉴스에서 '00 전자 신제품 선뵈'라는 자막이 떴었다. '뵈요/봬요', '선뵈/선봬' 중 어느 것이 맞는 것인가? 원리만 알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일단 한 걸음부터 디뎌 보자. (1)에 제시된 문제를 풀어 보고자 한다.
 (1) 얼마 안 (되서  되어서  돼서) 떠났다.  
   불을 계속 (쬤다  쬐었다  쬈다)
   바람을 (쐬도 쐬어도 쐐도)
   답답할 뿐이다
 위 세 문제에서 첫 번째 형태는 잘못된 표기이다. '뵈요/봬요'보다 자주 접하게 되는 '되-'를 활용해 설명하기로 하겠다. '뵈-/봬-'가 헷갈리는 것처럼 '되-/돼-'도 헷갈리기 때문이다.
 (2) 가. 되고, 되니, 되어서, 되었다
   나. 주고, 주니, 주어서, 주었다
 (2가)에 제시된 형태 중 첫 글자는 모두 '되'로 고정되어 있다. 줄여 쓰지 않는다면 틀릴 이유가 없다. 다만, 바이트 수에 신경 쓰면서 '되어서', '되어도', '되었다'를 줄여 쓸 때 문제가 발생된다. (2나)의 '주어서', '주어도', '주었다'를 줄여서 써 보자. '줘서', '줘도', '줬다'처럼 형태가 바뀌게 된다. '되어서', '되어도', '되었다' 등도 줄여 쓰면 '돼서', '돼도', '됐다' 등으로 바뀌게 된다. (1)의 '쬐었다', '쐬어도'도 줄여 쓰면 '쬈다', '쐐도'로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되+어요'가 결합할 때 '되요'로 적어서는 안 된다. '어'를 이유 없이 탈락시켜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되요'로 쓰고 싶다면 '주+어요', '먹+어요' 또한 '어'를 탈락시켜 '주요', '먹요'라고 해야 한다. 그래야 통일성이 있지 않겠는가? 앞으로는 톡이나 메일 끝 부분에 "내일 봬요(←뵈어요)"라고 당당하게 써 보자. '뵈어요'의 준말이 바로 '봬요'인 것이다. 그렇다고 '내일 뵐게요'까지 '내일 봴게요'로 써서는 안 된다. '봴게요'가 성립하려면 '보얼게요'라는 말이 있어야 할 텐데 국어에 '보얼게요'라는 말은 없으니 이런 것까지 본말로 접근하면 안 된다.
 혹시 위에 제시된 몇몇 단어 '뵈-', '되-', 쐬-', '쬐-' 등에는 맞춤법과 관련지을 공통점이 없을까? 모두 'ㅚ'가 표기에 확인된다. 'ㅚ'가 보인다면 앞서 제시한 준말의 원리에 의해 접근하면 된다. 그러면 다음 형태들 정도야 '식은 죽 먹기'일 것이다. 
 (3) 가. 아뢰어도 ; 아뢔도,
      아뢰었다 ; 아뢨다,
      아뢰어 ; 아뢔,
      아뢰어라 ; (아뢔라)
   나. 선뵈어도 ; 선봬도,
     선뵈었다 ; 선뵀다,
     선뵈어 ; 선봬,
     선뵈어라 ; (선봬라)
   다. 외어도 ; 왜도,
     외었다 ; 왰다,
     외어 ; 왜, 외어라 ; (왜라)
   라. 괴어도 ; 괘도,
     괴었다 ; 괬다,
     괴어 ; 괘, 괴어라 ; (     )
   마. 죄어도 ; 좨도,
     죄었다 ; 좼다,
     죄어 ; 좨, 죄어라 ; (     )
   바. 쇠어도 ; 쇄도,
     쇠었다 ; 쇘다,
     쇠어 ; 쇄, 쇠어라; (     )
      cf. 괘라, 좨라, 쇄라
 (3)에서 확인한 대로 '아뢰다', '선뵈다', '외다', '괴다', '죄다', '쇠다' 등 의외로 관련되는 단어들이 많다. 공통점은 모두 'ㅚ'가 개재되어 있다는 것이다. 'ㅚ+어'는 'ㅙ'로 변동된다는 것을 알아 두자. "걔는 단어를 아주 잘 왼다." "아주 잘 왰다."와 같이 쓸 수 있다. 반면, '외-'를 기본형으로 하지 않고 '외우-'를 기본형으로 하면 "아주 잘 외운다.", "아주 잘 외웠다."와 같이 적으면 된다. '선보이다'가 줄면 '선뵈다'가 된다. 여기에 '-어'가 결합되면 '선봬'가 된다. '선보이+어'는 당연히 '선보여'가 되니 결국 '선봬'와 '선보여'는 같은 의미일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래 봬도 전부 근육질이야'라는 표현을 할 수 있다. '이래 봬도', '저래 봬도'의 본말은 무엇일까? '이래(←이러해) 보이어도', '저래(←저러해) 보이어도'가 본말이다. 앞에서 '선보이어=선보여=선뵈어=선봬'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같은 방식으로 '(이래) 보이어도=보여도=뵈어도=봬도'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래 봬도'를 '이래 뵈도'로 쓰고 싶다면 그 본말을 '이래 보이도'로 생각하면 될 텐데 '이래 보이도'와는 뜻이 다른 것임을 알고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추석 잘) 쇘습니까'는 '쇠었습니까'를 본말로 생각할 수 있지만 '(추석 잘) 쇠십시오'는 '쇠어십시오'라는 본말을 상정할 수 없으니 주의를 해야 한다.
 준말과 본말의 관계가 복잡하다고 생각한다면 다음과 같은 기술을 발휘해 볼 수 있다. "저래 봬도/뵈도"에서 '봬도'와 '뵈도' 중 무엇이 맞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봬도/뵈도' 형태를 'X도'로 두고 접근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X' 자리에 'do'의 의미를 가진 '해'나 '하'[해도/하도]를 대치시켜 말이 되는지 알아보는 편리한 방법이 있다. '봬도'의 경우는 '-도'로 끝나 있기 때문에 '하도'에 대응되는 것이 아니라 '해도'에 대응되는 것이다. 평상시 '하도 된다'라 하지 않고 '해도 된다'라 하는 것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즉 '하'를 대치하는 것이 아니라 '해'를 대치해야 하므로 당연히 '봬'로 써야 한다는 것이다. 문자 'ㅐ'를 공통적으로 추출하자는 뜻이다.

  임석규 교수(국어국문학과)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