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목일이 뭐예요?' 요즘 학생들은 이 질문에 명쾌한 답을 잘하지 못한다. 지난 2006년 '식목일'이 공휴일에서 폐지된 후 일어난 현상으로 4월 5일 식목일은 이제 흔한 평일에 불과하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사이 미세먼지가 우리나라를 강타했다. 또한, 청와대 국민 청원을 통해 다시금 식목일을 공휴일로 재지정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식목일의 역사적 유래
 식목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서는 지금으로부터 1,3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먼저, 신라의 문무왕 통치인 677년 2월 25일(양력 4월 5일)에 당나라 세력을 몰아낸 것을 기념해 나무를 심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것이 4월 5일을 식목일로 지정된 유래라고 한다. 이어 최치원이 향양 군수로 재직 시절, 재해 방지를 위한 나무 심기를 실시했고, 이것은 우리나라 최초의 산림조성 역사가 됐다. 
 나무 심기는 신라시대뿐만 아니라 고려 시대에도 이어졌다. 풍수지리 사상에 영향을 받은 고려는 수도였던 개성 송악산의 기운을 보호하기 위해 소나무를 심었다. 이외에도 재해 방지를 위해 땅기운이 약한 곳에 나무를 심어 보호했다고 전해진다.
 조선시대 때는 경국대전 안에 나무를 심고 가꾸는 조항을 넣어 산림 관리를 강화했고, 이어진 성종 때는 왕이 직접 세자와 문무백관을 거느리고 주변의 산이나 들에 나무를 심는 식목일과 유사한 행사를 진행했다. 이러한 역사가 보여주듯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나무 심기를 중요시 여겨왔다.
 
   민둥산이 푸르게 되다
 그러나 20세기, 우리나라는 아픈 역사를 겪게 된다. 일본은 일제강점기 시절 우리나라의 곡식은 물론 목재까지 철저히 수탈해 감에 따라 나무껍질과 나뭇잎, 심지어 뿌리까지 채취해 활용하게 됐다. 그 결과 한반도의 산림 면적이 급격히 감소했고, 광복 이후 한반도에서는 민둥산만 남게 됐다. 설상가상으로 한국전쟁까지 겪게 되면서 삼림 훼손이 심각했고, 전후 복구를 위해 많은 수목이 사용됐다. 이렇게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우리나라 온 국토는 황폐해졌고, 민둥산은 나무가 없어 물을 저장하지 못하자 하천과 계곡이 말라 가뭄이 발생했다. 그로 인해 작은 비에도 산사태와 홍수가 발생하는 악순환이 반복됐다. 심지어, 당시 발표된 유엔의 보고서는 '한국의 산림 황폐화는 고질적이라서 치유 불가능하다'고까지 진단했다.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정부는 1960년대부터 산림 조성 사업을 적극적으로 실시했다. 식목일(4월 5일)을 공휴일로 지정하고 대통령부터 온 국민에 이르기까지 식목일에 나무를 심자는 운동에 동원됐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1982년 유엔식량농업기구(FAQ)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산림 복구에 성공한 유일한 국가'라는 평을 받게 된다. 난방방식의 변화 탓도 크지만, 나무를 심고 가꾼 덕분에 우리나라의 민둥산은 점차 숲으로 우거지기 시작했고, 지금의 푸른 산들로 가득하게 됐다.

   잊혀가는 식목일
 오늘의 푸른 대한민국을 만든 식목일은 올해로 74회를 맞이했다. 하지만 지나간 시간만큼 식목일은 우리에게 점차 잊혀갔다. 특히 2006년부터 주 5일 근무가 시행되면서 식목일은 공휴일에서 제외됐다. 지난해 기준 서울특별시의 25개 구청 중 식목일 행사를 계획한 곳은 11곳에 불과했는데, 이는 지난 2017년에 비해 4곳이 줄어든 결과였다.
 최근 들어 대한민국은 중국 발 미세먼지와 황사 등 대기오염에 대한 불안과 공포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미세먼지와 황사에 대한 대책은 단기적인 방안만 나오고 있어 국민들은 불안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식목행사가 축소되면서 한편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져가고 있다. 이에 국민들은 청원을 통해 '식목일을 다시 공휴일로 지정하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어 주목되고 있다. 
 미세먼지 피해를 막기 위해 공기청정기와 마스크 사용도 좋지만, 식목일을 맞이해서 나무 한 그루를 심어보는 것은 어떨까? 나무의 중요성을 되새기고 모두가 나무를 심는 작은 실천을 해나간다면, 미세먼지로부터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윤진형 기자 kiss7417@wku.ac.kr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