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은 바르게 사는 인간을 길러내는 것이다. 해방 60년이 되도록 우리의 교육은 똑똑한 사람은 많이 길러냈을는지 몰라도 훌륭한 인간을 길러내는 데는 미흡했다. 그것은 바로 정적인 인간 교육을 외면했기 때문이다. 교육개혁은 힘이나 기술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정신으로 해야 한다. 교육을 경제적 관점에서 판단하고 경제계와 산업계의 요구에 비중을 두고 다룬다면 교육계는 또 혼란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사실 지금까지의 대학은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배출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했다. 즉 대학은 넘쳐나지만 정작 쓸 만한 졸업자는 부족하고 대학교육과정이 산업계의 요구와는 동떨어지게 운영되었던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김진표씨와 같은 경제 부총리의 경력을 가진 사람이 교육 수장으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볼 때 과연 교육문제를 대학교육 내지 대학개혁에만 비중을 둘 수 있겠는가 하는 점은 다시 한번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대통령은 분명히 초·중등교육에는 문제가 없다는 판단 하에 대학개혁만을 강조하였다. 따지고 보면 꼬리를 잇는 유학 행렬과 이에 따른 외화 유출, 학원보다 불신 받는 초·중등교육 등 교육부총리가 풀어야 할 과제는 산적해있다. 또 학력 저하로 지적받고 있는 평준화 체제, 부정과 비리로 만연된 내신문제, 성적 부풀리기 등은 어떻게 할 것인가? 상식인을 길러내는 보통 교육이 바로 교육개혁이다. 나무만 보고 숲을 못 보는 교육은 맹인 교육이고 희망이 없는 교육이다. 개혁이란 명분하에 조령모개 식으로 정책만 바꾸어 본들 뿌리가 없는 나무에 탐스런 열매가 열릴 턱이 없다. 우리의 교육정책은 그동안 경쟁심만 조장하여 이기는 교육에만 열정을 쏟았다. 2000년대의 미래교육은 이기는 교육에서 벗어나 져주는 교육부터 하지 않으면 살아남기가 어렵다. 부패한 정치, 각박한 사회, 몰인정한 인간성, 자기만 아는 개인주의, 메마른 정서도 모두가 이기는 교육만을 해 왔기 때문이다. 이 세상에 져주는 사람이 많으면 살기가 편안해진다. 싸움도 없고 갈등도 있을 수 없다. 이기려는 사람이 많은 곳에 싸움이 많고 불평불만이 있기 마련이다. 져주는 사람이 많은 곳엔 정이 넘치고 이기려는 사람이 만흔 곳엔 정이 없다. 정이 없으면 자연도 황폐해진다. 자연에 순응하지 않고 이기려고만 하다가는 인간도 황폐해 질 수 밖에 없다. 변화와 혁신을 위해서는 과거와 현재에 대한 깊은 성찰과 균형 감각이 있어야 한다. 특히 한국의 대학은 80% 이상이 사립이므로 대학교육 또한 사학을 빼고는 논의될 수 없다. 요컨대 광복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이 땅에 사립대학의 헌신적 기여가 없었다면 국가의 고급인재를 육성하는 일 자체가 불가능했을 것이다. 이미 한국의 사립대학들은 상당수가 본격적인 구조조정의 국면에 접어들고 있는 만큼 정부가 더 이상 획일적인 기준을 적용해 이리 저리 몰고 다닐 필요가 없다. 대학개혁의 목표가 고등교육기관의 양적축소가 아니라 특성화 자율 경영을 통해 세계적 교육 경쟁력을 강화하는 일이라면 여기엔 국립과 사립의 차별 또한 있을 수 없다. 교육개혁을 부르짖으면서 제도나 방식에만 치우치면 우리는 또 실패할 수 밖에 없다. 그 보다는 근본적으로 사람다운 사람을 길러내는 방법부터 먼저 찾고 일관된 교육정책의 수립과 실천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미국 클린턴 대통령이 재임 8년 동안 "라일리" 교육장관과 운명을 같이 한 것을 우리는 남의 일로만 보아서는 안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