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위기에 직면한 지역과 지방대학을 살리는 길은 일자리 창출에 있다. 무엇보다 좋은 일자리 MZ세대가 선호하는 일자리가 지속적으로 창출되어야 한다. 그래야만이 젊고 유능하며 혁신적인 젊은이들이 전북지역에 정주하게 되고, 그들이 지역혁신 플랫폼을 주도하여 지역을 혁신하고 지역경제를 역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그동안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내에서 다양한 일자리정책들을 실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 이 순간에도 유능하고 혁신적인 젊은 인구가 지역에서 수도권으로 유출되는 현실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 까?
 국가균형발전계획에서부터 혁신도시종합발전계획, 국토종합계획, 지역균형뉴딜계획, 새만금기본계획, 전라북도지역혁신성장계획, 전라북도금융도시육성계획, 전라북도대학지원사업 등에 국가차원이나 지역차원의 다양한 일자리 정책들이 숨쉬고 있다. 또한 국가차원에서 설계된 지역지원 정책들이 최근 중앙정부 주도의 톱다운 방식에서 지역주도의 바텀엎(bottom-up)방식으로 전환되고 있어 고무적인 상황이다.
 지난 3월 전라북도와 새만금개발청 등 5개 기관이 새만금 신재생에너지 전문인력 양성센터를 건립하는데 MOU를 체결하고 연간 300명 규모의 태양광발전 설비전문유지보수인력을 양성하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지역의 대학들과 연계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지역일자리 모델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 또한 지역인재 혁신도시 공공기관 의무채용비율을 50%로 상향시키는 지방대학육성법 개정안이 제도화되어 지역인재들에게 지역간 차별없는 지역인재 채용지원제도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덧붙여서 혁신도시 지역인재채용현황을 살펴보면 2020년기준 광주·전남의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전력 등 16개 기관에서 346명 규모로 12개 혁신도시 중에서 채용규모가 1위인 반면 전북지역의 경우 총 98명이 채용되어 광주·전남 혁신도시에 비해 1/3수준에 불과하다. 지역인재의무채용에 있어서도 지역간 균형을 이루기 위해 지역간 광역화와 2차 공공기관 혁신도시 이전이 필요하다.
 지자체와 지역의 대학이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지역을 혁신하는 2020년 지역혁신플랫폼(경남, 충북, 광주·전남지역 시범사업)사업을 전북지역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지역균형뉴딜사업으로 인한 일자리창출사업도 초광역화하여 지역의 편협성을 극복하여야 한다. 특히 공공부문에 대한 일자리 창출 사업(전체고용대비 일반정부고용비율이 OECD평균 18.1%인데 비해 우리나라는 7.6%로 저조한 상황)을 전라북도나 익산시가 적극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최근 국가균형위원회에 제출된 전라북도 지역혁신 성장계획에 포함된 6대 혁신전락산업에 대한 인력양성 및 일자리 창출을 확장시켜야 한다. 지역정책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혁신 플랫폼을 구축하는 사업이야말로 지방소멸을 막는 최선의 방책이다.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