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소멸이 위험수준을 넘어섰다. 우리 삶의 글로벌화가 급속히 확산되는 상황에서 지역을 돌아보고 내실있게 다지는 균형이 더욱 절실한 시점이다. 하지만 지역의 힘은 하염없이 빨려나가면서 점점 더 쪼그라들고 있다. 지역을 말하는 사람도, 매체도 없다. 가끔씩 지역민들의 아우성이 허공에 흩어질 뿐이다. 하지만 지역의 미래가 공동체의 미래임은 분명하다. 
 최근 수도권 인구비율이 51퍼센트를 넘었다. 20~40세 미만의 청년인구 수도권 비율은 54.5퍼센트이다. 집중도가 높은 일본 32.6퍼센트, 프랑스 18.7퍼센트, 영국 12.2퍼센트와 비교해 볼 때 수도권 인구비율이 반이 넘는 것은 기형적인 것을 넘어 미친 현상이다. '30-50클럽' 7개국(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이상, 인구 5000만명 이상 국가)의 GDP 집중도는 1위 한국 51.8로, 2위 일본 33.1, 3위 프랑스 31.2이다.  일자리 집중도는 한국 49.7, 일본의 30.8, 프랑스의 22.8보다 크게 높다.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소멸위험 지역은 97곳으로 농촌의 미래가 그려지지 않는다. 
 2004년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이 제정되었다. 지난 정부는 「지방자치와 분권」을 핵심 국정과제로 채택하고 「국가균형발전 5개년 계획」을 수립하였다. 2018년에는 정부 지방분권개헌안(지방분권형 국가 지향)이 발의되었으나 폐기되었다. 새정부는 수도권 대학정원 증대, 수도권 산업시설 확충 등 지역소멸을 부채질하고 있다. 지역 균형발전은 뒷걸음 치고 있다. 
 현재의 수도권 집중 구조로는 공동체의 지속성장이 한계를 갖는다. 식량, 환경, 인구, 산업성, 정치, 자연, 문화 등 주요영역에서 폐해가 발생하고 수도권은 지역을 식민지처럼 약탈적으로 대하고 있다. 상황이 이러한데도 지역의 문제를 말하고 의제화하고 논의하고 고민하는 진지한 언론이나 정치인이나 지식인의 목소리는 없다. 우리사회 여론을 이끈다는 소위 조선, 중앙, 동아의 1년치 사설 중 지역관련 의제비율이 4.27퍼센트에 불과했다. 중앙언론은 지방분권이나 국가균형발전 등 이슈에는 반대여론을 형성한다. 지난 대통령 선거 직전, 지자체 단체장 모임인 <지방협의체>와 <지방분권개헌 국민회의>가 대선 후보자들에게 '지방분권 헌법개정' 공약 채택을 요청하였으나 후보자들, 언론들, 시민들의 반응은 냉냉하였다. 시장의 한계를 갖는 지역 언론이나 경제적, 문화적 수도권 종속의 한계를 갖는 지역오피니언 리더들이 지역을 말하는데 한계가 있다.
   지역을 말해야 한다. 공동체의 건강한 미래를 위해 상징의 장, 여론형성의 장, 공론장에 다양한 상징생산자들이 참여하여 지역 소멸 극복, 지역균형발전, 공동체의 행복한 미래를 위한 지역상생에 관해 다양한 상징과 콘텐츠를 만들고 의제화하고 치열하게 논의하여야 한다. 지역의 문제이니 지역이 해결하라는 발상은 같이 죽자는 무책임한 발상이다. 지역이 살아야 국가가 산다. 지역이 살아야 공동체의 행복한 미래가 있다.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