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의 자유는 정권의 건전성을 드러내는 지표이다. 언론은 자율성과 다양성이라는 토대 위에서 책무를

 
이행할 수 있다. 민중의 입과 귀를 틀어막은 정권은 오랫동안 존속할 수 없다. 정권이 아무리 언론을 통제하려 해도 이제 민중의 입과귀를 원천적으로 막기란 불가능한 시대가 되었다.
   최근 공영방송사들의 파업은 현 정권의 언론 정책에 대한 비판적 시각으로부터 출발한다. MBC, KBS기자회 측은 정부의 언론 통제에 항거하기 위해 파업에 돌입했다고 한다. 공영방송사의 기자들은 권력에 민감하고 불리한 기사들이 잇따라 축소, 누락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값 등록금, 한미 FTA, 10 26 재보궐선거,
제주 해군기지 건설 추진과 같은 날카로운 사안에 대한 보도가 자유롭게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이들은 주장하고 있다. 권력의 감시로 인해 언론이 역할을 다하지못하고 있다는 이들의 주장에 의하면 현정권의 언론 정책은 매우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
   분노한 기자들은 공정보도의 실현과 내부의 문제제기를 쉬쉬하고 있는 책임자의 사퇴를 요구하며 제작거부에 돌입했다. MBC 뉴스프로그램 주말 뉴스데스크 는 45분이었던 방영시간을 15분으로 축소했다. KBS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다. KBS 역시 뉴스프로그램의 제작거부가 장기화 될 경우 방송 차질이 예상된다.
   두 공중파의 파업에 YTN, 연합뉴스의 노동조합 측도 독립성과 공정성 훼손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파업에 참여할 뜻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경영진은 이들의파업을 불법 행동으로 규정하고 민 형사상의 책임을 묻겠다고 나서고 있다. 노동조합과 경영진간의 좁혀지지 않는 입장차로 네 언론사의 파업은 장기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언론은 현실의 모순을 바르게 지적해올바른 여론을 형성하고 정부기관에 대한 감시와 비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언론의 자유를 수호하겠다는 목적으로 진행되는 이번 파업으로 현 정권과 언론과의 갈등은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다.
   어떤 정권이든 국민의 알권리 침해와 관련된 시시비비가 벌어지게 마련이다. 이는 우리의 시민의식이 그만큼 성장해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정부의 억압과 방송국 경영진의 압박으로 국민들을 위한 보도 가 아닌 권력층을 위한 보도가되고 있다는 주장은 흘려들을 수 없다. 나는 꼼수다 와 같은 비주류 언론이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은 어떤 면에서 그리 달가운 일이 아니다. 보다 많은 사람들이 보고 듣는, 공신력 있는 언론사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나꼼수의 인기가 역으로 증명하고 있는 셈이 되는 것이다.
   민주주의는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는데서 시작된다. 언론은 사회의 다양한 목소리를 자유롭게 표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시대의 언론은 정부와 기업, 국민의 의견을 객관적으로 반영하고 그들이 소통 할 수 있게 도와야 한다.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