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7일은 올해 49회 째를 맞는 신문의 날이다. 영상매체에 익숙한 현대인들로 인해 인쇄매체가 위기에 놓인 지금 신문의 날을 맞이해 우리나라 신문의 역사 및 발전사, 현 정권과 언론의 관계를 살펴봤다.               /편집자

우리나라 신문의 역사
 우리나라 신문의 역사는 최초의 근대신문인 한성순보로부터 시작된다. 한성순보는 일본에 다녀온 박영효가 국민의 계몽을 위해 창간했으며 당시의 개화파들이 국민들에게 외국의 사정에 대해 알리고 개화사상을 고취시키려는데 목적을 뒀다.
 이어 1886년에는 순한문과 순한글이 사용된 한성주보가 창간됐다. 한성주보는 현대신문의 사설에 해당하는 ‘사의란'과 광고를 처음으로 게재한 신문이다. 한성순보의 뒤를 이은 한성주보는 경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1888년 7월에 폐간되고 말았다.
 신문의 성격과 내용 면에서 우리나라 신문사상 획기적인 업적을 남겼다는 평을 받고 있는 독립신문은 1894년 4월 7일에 발간됐다. 독립신문은 서재필 박사에 의해 창간된 첫 민간신문이며 순한글과 띄어쓰기를 사용했다. 또한 사실보도와 논평, 비판에 비중을 두어 그 의의가 크다. 특히 한국신문편집인협회는 1957년 4월 7일 한국 최초의 한글신문인 독립신문 창간 61주년을 기하여 신문의 날을 제정했다. 이에 박영학 교수(정치행정언론학부)는 “독립신문은 최초의 한글신문이라는 점에서 한국언론계가 발전할 수 있는 발판이 됐다”고 말했다.
 1904년에는 항일운동의 선봉에서 서서 민족진영을 대변한 대한매일신보가 등장했다. 영국인 베셀이 창간했으며 국한문판과 한글판, 영문판을 동시에 발행해 한말 최대의 민족지로 부상했다.
 1910년 일제강점기에는 3·1운동 후 일본정부는 ‘문화정치'라는 구호를 내걸고 우리 국민들을 회유하면서 1920년 1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조선일보, 동아일보, 시사신문 세 가지의 신문발행을 허가했다. 이 세 신문들은 우리국민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힘썼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8·15광복이 되고 미군정 시기가 찾아오면서 우리나라 신문은 다시 활기를 띄었다. 먼저 한글판 신문인 조선인민보가 창간됐으며 폐간됐던 조선일보와 동아일보가 복간되면서 신문들의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광복이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자유당·민주당시대가 도래했다. 이 시기에는 신문계가 안정을 되찾았고 신문에서는 이승만 정권의 독재를 비판해 신문의 발행허가를 억제하기도 했다.
 1961년 5월 16일 군사혁명이 일어나자 군사정부는 인쇄시설을 갖춘 신문사만을 제외하고 언론기관을 대폭 정비했다. 또한 1965년 9월 22일에 중앙일보가 창간되면서 국내 최초의 컬러 신문을 만들어 컬러 신문 시대를 열었다. 컬러 신문 등장 이후 지금까지 우리나라에는 중앙지, 지방지 등 총 6천 8백여 개의 정기간행물이 발간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 노무현 정권과 언론
 노무현 대통령은 2002년 최초로 국민경선제에 의해 당선돼 모든 여론을 수렴하고 국민의 참여를 활성화하겠다는 ‘참여정부'로써 국민들 앞에 섰다.
그러나 노무현이 16대 대통령으로 취임된 지 100일이 채 지나지 않아 각 언론은 노무현에 대한 증오 섞인 보도를 실었다. 
 조선일보 2003년 6월 16일과 17일자에 게재된 의 ‘노 대통령, 핵심 참모진과 잇단 회동 개혁인재 양성 논의'와 ‘공무원 패널단 회원가입 권유'의 기사가 대표적이다. 또한 2003년 6월 13일자 중앙일보에서는 ‘대북정책 강온과 갈려 혼선'이라는 기사로 현 정권에 대한 비판 섞인 목소리를 내기도 했었다. 이는 노무현과 언론, 즉 진보와 보수의 대립이 시작됐음을 의미한다.
한편 뉴욕타임즈의 하워드 프렌치 기자는 “수주일간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악의적인 기사자 각 신문에 실렸다. 이 곳에서는 대통령에 대한 두려움 같은 것은 전혀 없으며 국민들은 그들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거침없이 말할 수 있다"고 우리나라의 현 상황을 설명했다.
대한매일의 조사에서는 국민의 78.9%가 언론개혁의 필요성을 느낀다고 답했다. 이는 국민들이 언론에 대한 불신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현 정권과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의 싸움을 타 언론은 노무현 정권이 들어서기 신문의 권력남용과 오만을 반성하고 자성의 기회를 가졌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더불어 국민들은 신문의 영향력을 권력으로 행사하지 말 것을 경고하고 있다.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