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는 가정 문제, 아동 학대 피해자 등 사회적으로 상처받은 아동들이 집단으로 모여 거주하는 소규모 아동복지시설, '그룹홈'이 존재한다. 같은 처지의 또래들과 상처를 공유하고 상담가의 상담 등을 통해 심적 아픔을 치료해서 이들에겐 '유토피아'로 각광 받는다. 하지만, 이들의 소망과는 반대로 유토피아가 아닌 디스토피아로 변질되는 양상이 보이고 있다.
 지난 3월, 경기도 소재 그룹홈 시설이 도마에 올랐다. 원장이 원아들을 상대로 2년간 폭행 및 감금을 일삼았고 정신병원 강제입원까지 시켰다는 이 사실은 세간에 큰 충격을 안겨줬다. 더 큰 문제는 피해자들이 쉽사리 증언을 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증언으로 인해 관계자가 구속되면 버림받을 거라 두려워하는 나머지 망설이게 되고, 이 과정에서 2차 가해는 물론이고 피해 확대 등으로 번져 우려스러운 실정이다.
 또한, 그룹홈 시설에 대한 지원이 축소되는 나머지 원장들도 부담감을 느껴 폐쇄하는 경우가 증가해 아이들이 퇴소당해 또 다시 상처를 받는다는 상황도 벌어져 여러모로 심각성이 대두되는 상황이다. 
 흔히 우리는 어린이 보호를 지성인으로서의 암묵적 신념으로 삼는다. 우리의 뒤를 이어 국가를 계승할 차기 후계자니까 말이다. 하지만, 정작 보이지 않는 이면에는 아이들의 고통이 암약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 고통이 과연 아이들에게만 그친다고 볼 수 있을까? 아이들에게만 머무는 것을 넘어서 결국에는 돌고 돌아 사회 전체에 대한 중대한 위협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다. 
 그걸 막기 위해서라도 명심할 필요가 있다. 그들이 보내는 구조의 메시지를, 선입감을 가지지 말고 한 톨이라도 예의주시하며 진지하게 대응하는 것이 비극의 굴레를 멈출 최선의 수단이라는 사실을 말이다. 그것이 우리에게 천부적으로 부여된 도의적 의무의 당위성이기 때문이다.

이민서(행정언론학부 2년)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