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족문제연구소 방학진 사무국장

- 2차 명단 해외 친일인사 수록 예정 -

친일인명사전 편찬을 계획하게 된 배경이 있다면
 1991년 연구소 개소 당시부터 계획했던 것으로 그동안 사회적 관심과 연구소 역량이 부족해 계속 계획만 세웠었다. 이후 2001년 12월 국사편찬위원장인 이만열 교수를 위원장으로 하는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를 구성해 2002년부터 5개년 계획으로 본격화했다. 사전 편찬은 단순히 친일인사들을 폄훼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니다.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이후 유보된 친일청산이라는 민족 공동체 전체의 요구를 수행함으로써 말로만 하던 민족정기 확립과 역사 정의의 확립이라는 구체적인 사회 정의를 실현한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번 명단공개에 수록된 인물 중 의외다 싶은 인물들이 많다.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이 문제가 됐던건가
 홍난파의 경우 사실은 연구자들 사이에서 친일행적으로 아주 유명한 분이다. 하지만 그런 점이 일반인에게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충격이 더할 것이고, 그 다음 '시일야방성대곡'을 써서 한·일 언론의 대표격인 위암 장지연 선생의 경우에도 그 분이 1910년 경술국치 전까지는 상당히 지조를 지킨 것으로 되어 있지만 그 이듬해인 1911년부터 친일에 대한 글, 논설이 명백한 자료로 밝혀지기 때문에 그 한 지조있는 독립운동가의 회정의 과정을 어쩔 수 없이 우리가 공개해야 하는 안타까운 일도 있다.

1차 명단에 수록된 인물들의 선정기준은 무엇인가. 또 공개 후 사회의 반응은 어떤가
 발표 직후 300명이 넘는 시민들이 연구소 회원으로 가입해 주는 등의 격려와 함께 주로 박정희 지지자들로 구성된 항의 세력들이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에서 조직적으로 반발하고 있다. 아마도 대부분 박근혜 현 한나라당 대표의 지지자들로 보인다. 또 기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말들이 많은데 그 기준은 수 십년간 이 문제를 전공한 학자들 사이에서 이미 내부적으로 오랫동안 합의돼 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총론적으로 말하자면 친일행위의 자발성, 적극성, 지속성 등이 총론적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친일인명사전에 기록될 사람들을 조사하던 중 사회적으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았던 것으로 안다. 친일인명사전을 편찬하며 어려운 점은 없는지
 가장 걸림돌은 사회적 무관심이다. 반발하는 세력이야 존재하기 마련이지만 이 문제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지지하고 후원하는 분들이 더 많아졌으면 한다. 2004년 네티즌 모금을 통해 많은 성원을 보내주셨지만 역사 정의 실현이라는 과업은 단거리 경주가 아니라는 사실을 모두가 상기했으면 한다.

현재 장지연 선생의 가족들이 민족문제연구소에 소송을 건 상태로 알고 있다. 향후 이런 소송이 더욱 증가할 것인데 이에 대해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이런 소송이 들어오면 우리의 연구작업이 일단 지연된다. 장지연 선생의 경우에는 그 유족측, 기념사업회측에서 소송을 제기했는데 그것이 기소단계에서 무혐의로 판명이 났다. 그리고 명단에는 나와 있지 않지만 2차 명단에 발표될 예정인 친일군인 김창용의 유족은 이미 우리 연구소에 명예훼손 소송을 걸어놓은 상태이다. 우리가 우려하는 것은 이 명단 발표로 인해서 유족들이 어떤 법적인 책임을 물어야 한다거나 하는 것이 아니다. 순수하게 학문적 차원에서 논의하고 있는 것인데 그런 학문적 영역에 있는 것을 굳이 법적, 또는 정치적 영역으로 끌고 가서 논란을 만들지 않았으면 하는 것이 우리의 바람이다.

앞으로 진행될 친일 인사 선정작업은 어떤 것이 있나
 2차 명단에서는 지방에서 활동한 친일파와 연구가 미비한 해외 친일인사들이 수록될 것이다. 앞으로 그 부분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진행해 2006년에 공개할 예정이다. 또한 친일인명사전의 근간을 어느 정도 완성시켜 2007년 말에는 '친일인명사전'을 국민들에게 선보일 계획이다.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